무조건 반응 無條件反應 unconditioned response
|
1. 무조건 자극이 주어질 때 거의 자동적이며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반사적 행동 2. 생득적인 것이기 때문에 학습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3. 예컨대 눈 깜박거림?무릎 반사, 파블로프(I.P. Pavlov)의 실험에서의 고깃가루에 대한 개의 타액분비 등이 있다. 무조건 반응에 대립되는 개념은 조건반응이다. |
무조건 자극 無條件刺戟 unconditioned stimulus
|
1. 어떤 특정한 훈련이 없이도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 자연적 자극이라고도 한다. 2. 생리학자인 파블로프(I.P. Pavlov)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는데, 그는 그의 타액 조건형성 실험에서 개가 침을 흘리도록 유발하는 고깃가루를 무조건 자극이라 명명하였다. 3. 특징 : 생득적이고 학습되지 않고 유발되는 특성을 지녀야 한다는 것 ※ 무조건 자극은 거의 자동적이고 동시적인 무조건 반응을 유발하게 된다. 4. 무조건 자극에 반대되는 개념은 조건 자극인데 이들을 구별하기는 그렇게 쉽지 않다. 왜냐하면 때때로 특정한 반응을 유발하는 능력이 이전의 경험 혹은 학습에 의한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
무조건적 존중 unconditioned regard
|
1. 상대방의 감정이나 사고, 행동을 판단, 평가함이 없이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임으로써 상대방을 한 인간으로 대접하려는 태도 2. 이는 상대방이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든지, 혹은 어떤 잘못을 저질렀든지 간에 상관없이 무조건적으로 그를 귀중한 존재로 소중하게 여기는 것을 의미한다. 3. 로저스(C. Rogers)는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무조건적 존중의 마음가짐을 보여줄 때 내담자는 자유롭게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탐색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를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상담에서의 기본적 조건의 하나로 보았다. |
무학년제 無學年制 nongraded system
|
1. 학년이나 계열(系列)에 관계없이 개개 학생들의 능력과 흥미에 맞는 수준의 과정(科程)을 밟을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조건을 마련해 주는 학제 2. 미국의 교육학자 굿레드(J.I. Goodlad) 등에 의해 주장되고 있는 교육체제이다. 학생 집단의 수준표시는 학년으로서가 아니라 교육과정의 단위로 표시된다. 유치원 2년, 초등교육 6년, 중등교육 6년, 대학교육 4년에 걸치는 18년을 5구분하여 무학년 초등 전반기 교육과정(敎育課程), 무학년 초등 후반기 교육과정, 무학년 중학교 교육과정, 무학년 대학 교육과정으로 표시하는 것이 한 예이다. 3. 목적 : 동일한 학급 내에 존재하는 극심한 개인차를 해결하고 학생의 능력에 맞는 과정을 학생들이 자유롭게 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자는 데 있다. 4. 교육과정 계열에 따라 학생들이 무리없이 계속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학급편성 방식이 중요하게 된다. 5. 학급편성은 보통 능력별 집단편성, 성적수준별 집단편성, 인성(人性) 및 학습경향별 학급편성, 기타 준거에 의한 편성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보통의 학년제와의 절충을 통해 일부의 교과목에서만 무학년제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학년제 |
무학재 武學齋
|
1. 고려 국자감(國子監)의 칠재(七齋)의 하나 2. 예종 4(1109)년에 무신(武臣)을 양성하기 위하여 세운 것으로 「강예재」(講藝齋)라고도 불렀다. 3. 고려사(高麗史)에 의하면, 무학재의 정원은 17명이었으며 첫 입재자는 한자순(韓自純) 등 8인이었다. 4. 인조 11(1133)년 1월에 이 단과대학[齋]은 폐지되었는데 이는 문(文)을 숭상하고 무를 경시하는 당시의 상문경무(尙文輕武) 풍조 때문이었고, 이는 뒷날 무신의 난(亂)을 일으키는 원인(遠因)의 하나가 되었다. ?국자감 |
문묘 文廟
|
1. 공자(孔子)를 비롯한 성현(聖賢)을 받드는 사당 2. 문묘의 정전(正殿)인 대성전(大成殿)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4성(聖)?10철(哲), 송조(宋朝)의 6현(賢) 등 모두 21인이 봉안되어 있고, 양무(兩무)에는 그 밖의 중국의 유자(儒者) 94명과, 신라의 설총(薛聰)?최치원(崔致遠) 및 고려와 조선 왕조의 학자 18명, 합계 112명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3. 매년 춘추로 향사(享祀)하는데 이를 석전(釋奠)이라고 부른다. ?성균관 |
문법학교 文法學敎 grammar school
|
1. 17~18세기에 있었던 영국의 중등학교. 교육에 대한 교회의 권력과 국왕의 통제권이 하나가 되자, 교육을 통제하는 수단으로서 나타난 것이 헨리 8세 때의 문법학교의 교과서 지정, 엘리자베드 여왕 때의 학교 순찰과 종교교육이었다 2. 근세 영국의 교육사에서 문법학교는 상층계급의 중등교육 기관으로 되어 있으나 이 무렵 문법학교는 지방 주민과의 결합이 강해서 지방 주민들은 자기들의 학교로 생각하였으며 수업료도 받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3. 1590년의 규정에 따르면, 하로우(Harrow)에도 능력만 있으면 가난한 자도 입학시켜야 한다고 했다. 이것은 능력있는 자를 각 계급에서 모아 우수한 사회인을 육성하려는 데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
문제해결 問題解決 problem solving
|
1. 개체가 습관적인 반응으로는 적응할 수 없는 장면에 직면하여 새로운 반응양식을 나타내는 것 2. 문제의 해결은 그 장면을 인지(認知)하는 주체의 변화 내지 통찰의 성립으로 가능해진다. 3. 학습이론에서는 문제해결법이라고도 하며 학생들에게 문제해결 능력배양을 목적으로 어떤 문제를 주고 그 해결과정을 통하여 지적?태도적?기술적 학습을 시킨다. |
문제해결 학습 問題解決學習 problem solving learning
|
?학습 가운데서 가장 높은 수준 또는 위계(位階)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둘 또는 셋 이상의 원리를 적용하여 주어진 과제를 새롭게 해결하는 지식이나 기능을 습득하는 것 |
문항 곤란도 問項困難度 item difficulty
|
1. 개개 문항의 어려운 정도 2. 문항형식이 선택형이냐, 서답형(書答型)이냐에 따라 곤란도의 산출공식이 달라지고 또한 선택형 문항일지라도 미달항(未達項)과 추측요인을 제거하느냐 제거하지 않느냐에 따라서도 산출공식이 달라진다. 3. 그러나 어떠한 공식으로 계산되든지 곤란도 산출의 기본방식은 수검자(受檢者) 수에 대한 정답 반응 수의 백분율로 표시되기 때문에, 실제 계산된 곤란도 지수가 높을수록 쉬운 문항이고 곤란도 지수가 낮을수록 어려운 문항이다. |
문항난이도 모수 問項難易度母數 item difficulty parameter
|
?검사의 개개 문항의 쉽고 어려운 정도.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문항난이도는 문항에 응답한 전체 피험자 중 그 문항에 답을 맞힌 피험자의 수, 즉 정답비율을 말한다. |
문항 내적 합치도 問項內的合致度 item internal consistancy
|
1. 한 문항에서 바른 답을 했을 경우 그 문항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문항에서도 계속해서 바른 답을 하게 되고, 반대로 틀린 답을 했을 경우에는 계속해서 틀린 답을 하게 되는 정도. 2. 문항 내적 합치도는 문항 변별도와는 개념적으로 다소 다른 각도에서 정의되고 있지만 문항내적 합치도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변별도(辨別度)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동일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문항 내적 합치도와 변별도는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 |
문항모수치의 집단불변성 問項母數値―集團不變性 the group invariance of item parameters
|
1. 문항반응이론의 장점으로서 문항의 난이도, 변별도, 추측도 모수는 그 문항에 응답한 피험자 집단의 특성에 따라 변화되지 않는다는 것 2. 문항반응이론에 의하면 능력 수준이 낮은 피험자 집단이 어떤 문항에 응답한 문항응답자료를 가지고 문항의 특성을 분석하든, 능력수준이 높은 피험자 집단이 응답한 문항응답자료를 가지고 문항특성을 분석하든 문항의 추정치는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3. 문항모수치의 집단 불변성은 모든 능력척도에 적용되며 피험자의 능력 분포와 독립적이기 때문에 다른 능력수준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문항 모수를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4. 문항모수치의 집단 불변성은 문항특성의 불변성과 동의어이다. |
문항반응분포 問項反應分布 item response distribution
|
1. 선다형(選多型) 문항에 대한 응답자들의 반응을 답지별(答肢別)로 분석한 것 2. 답지반응분포와 비슷하다. 3. 한 문항에 대한 총반응수에서 정답자 수를 뺀 다음 그 문항의 오답지(誤答肢) 수로 나눔으로써 계산되는 개별 오답지의 이론상의 반응빈도와 실제 반응빈도를 비교하여 오답지의 매력도(魅力度)와 그에 따른 정답지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며 배합형 문항도 이 방법을 이용하여 오답지의 매력도를 확인할 수 있다. |
문항변별도 問項辨別度 item discrimination power
|
1. 어떤 문항에 정답, 또는 오답을 했다는 사실만을 기초로 하여 그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게 될 것인가 혹은 낮은 점수를 받게 될 것인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도 2. 변별도의 계산방법은 다양하나 규준지향 측정에서 선다형(選多型) 문항의 변별도는 상위집단에서의 정답자수를 Ru, 하위집단의 정답자 수를 Rl, 상위집단과 하위 집단의 총사례수를 f, 문항변별도 지수를 DI라고 하였을 때 DI=(Ru-Rl)/f로 계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