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타당성 普遍妥當性 [독]Allgemeingultigkeit
|
1. 대상(對象) 전체에 예외 없이 유효한 것을 말함. 일반적으로는 보편타당성을 가진 인식을 진리라고 한다. 2. 주관적 관념론(主觀的觀念論)에서는 인간 경험의 조직형태를 진리라고 하고, 그 타당성을 보다 많은 사람들이 주관적으로 승인한다는 경험적 현상에서 구한다. 3. 객관적 관념론에서는 이것을 인식형식의 선천성(先天性)에서 구하고, 당위(當爲)로서의 가치에 보편타당성의 근거를 둔다. ? 보편성, 타당성 |
복선형 학제 複線型學制 dual ladder system
|
1. 상층계급과 하층계급 사이에 서로 다른 학교계통 또는 계제(階除)가 있어 교육연한이나 교육내용이 서로 다르고 상호간의 이동이 불가능한 학교제도 2. 복선형 학제 하에서는 두 개 이상의 계제를 생각할 수 있으며, 하급단계의 학교에서 상급단계 학교로 진학함에 있어서 계제간에 서로 교류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3. 지배계층을 위한 계제는 고전적인 인문중등교육을 거쳐 대학으로 진학할 수 있게 되는 반면, 서민 대중을 위한 계제는 주로 기술계?실업계 중등교육을 거쳐 실사회로 진출하도록 되어 있다. 4. 역사적으로 본다면 복선형 학제는 유럽에서 발달되었는데 영국의 문법학교(grammar school), 독일의 김나지움(Gymnasium) 등과 같이 처음에는 지배계급을 위한 학교계통만이 설치되었다가 후에 일반 서민 계층을 위한 학교가 함께 설치되었으나 상호간에 교류와 이동은 불가능하였다. 5.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서 복선형 학제에 대한 심각한 비판이 일어났으며, 유럽에서도 민주주의 사조(思潮)에 입각한 교육의 기회균등화를 위하여 통일학교 운동이 일어나고 학제의 단선형화도 촉진되기 시작하였다. ? 학제, 단선형 학제 |
본질적 가치 本質的價値 intrinsic values
|
1. 어떤 대상이 다른 것의 수단이기 때문에가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이기 때문에 가지게 되는 가치. 외재적 또는 수단적 가치의 반대이다. 2. 예 : 낚시질은 고기를 얻는 수단으로서 추구될 수도 있고, 다른 것에서 맛볼 수 없는 독특한 즐거움으로 추구될 수도 있는데, 후자의 경우에 부여되는 가치, 즉 낚시질에만 있는(그 자체에 내재하는) 고유한 가치를 본질적 가치라고 한다. 3. 듀이(J. Dewey)에 의하면, 모든 대상은 목적으로서 추구될 수도 있고 다른 것의 수단으로서 추구될 수도 있으므로, 본질적 가치와 수단적 가치의 구분은 대상을 보는 상황에 따른 구분일 뿐이지 대상에 따른 절대적 구분이 아니라고 했다. 4. 대상 중에는 「행복」「생명」 등과 같이 오직 목적일 뿐 수단이 될 수 없는 것들도 있다. 목적적 가치라고도 한다. ?수단적 가치, 가치 |
본질주의 本質主義 essentialism
|
1. 문화적 유산의 본질적 가치가 모든 사람에게 전달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20세기 미국사회의 한 교육사조 2. 본질은 실존하며, 직관적으로 알 수 있고 구체적인 존재보다 우선한다는 철학적 학설로서 실재론과 관념론을 포괄하고 있다. 3. 객관적 관념론자인 플라톤(Platon), 실재론자인 데모크리토스(Demokritos)와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등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으나 현대적 본질주의는 문예 부흥기 이후 많은 관념론자와 실재론자들의 사상 속에서 발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반철학에 속한다기보다는 교육운동에 깊이 관련된 것으로, 문예부흥기부터 진보주의 교육이 나오기까지 모든 세속학교를 지배한 사상이다. 4. 20세기에 들어와 진보주의 교육의 그늘 아래 잠시 가렸으나, 1930년 버글리(W.C. Bagley)를 위시해 데미어쉬케비치(M. Demiashkevich)?혼(H.H. Horne)?피니(R.L. Finney)?칸델(I.L. Kandel)?브리드(F.S. Breed)?브릭만(W. Brickman)?베스토(A. Bestor)?스미드(M. Smith) 등에 의해 진보주의 교육이 공격받으면서 발전한 것이다. 5. 개인의 가능성을 믿으나 아동의 자유나 흥미보다는 질서?노력?훈련?개념적 학습 및 교사의 권위가 강조된다. 6. 항존주의(恒存主義)와 같이 고전과 영원한 진리를 가르치되 그 자체를 위해서라기보다는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방법 면에서는 진보주의 교육에 더 가깝다. ? 항존주의, 진보주의 |
봉건제도 封建制度 feudalism
|
1. 중세 봉건사회의 정치제도. 영주와 농민관계 또는 봉건적 생산관계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말해서 봉토(封土)를 매개로 하여 맺어진 주종관계, 즉 영주(領主)와 가신(家臣) 사이의 쌍무적인 관계로서 가신제와 은대지제(恩貸地制)가 결합된 정치 제도이다. 2. 봉건제도가 가장 성했을 때는 11~13세기이며 이때 국왕은 최고의 봉주로 차례로 하급 영주까지 가는 피라밋형의 정치질서가 전면적으로 성립한 때라고 볼 수 있다. 3. 붕괴 : 농민의 반봉건투쟁이 격화함에 따라 차례로 왕권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므로 봉건제도는 실질적으로 붕괴되고 절대주의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영주와 농민의 관계는 부정되지 않고 오히려 더욱 보호되었다. 4. 동양에서는 중국 주대(周代)에 천자(天子)가 많은 제후(諸侯)에게 땅을 나누어 주어 제후가 각자의 영유지역을 통치하는 국가조직이었다. 5. 유의 : 서구적인 것과 동양적인 것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봉건제도라는 말을 일률적으로 사용하거나 적용하는 데는 많은 주의를 요한다. |
부가적 타당도 附加的妥當度 incremental validity
|
1. 주어진 기준변인의 예언에 있어서 새로운 예언변인의 추가가 그 예언능력을 증가시키는 정도 2. 여러 개의 검사를 가지고 한 기준 변인을 예언하고자 할 때 처음 하나의 검사로부터 시작해서 새로운 예언변인인 검사의 추가가 기준변인의 예언능력을 의의있게 증가시키는 한 계속적으로 새로운 예언변인을 첨가시킨다. 3. 이때에 한 새로운 예언변인의 추가가 예언타당도를 증가시키지 못할 때 이 변인을 첨가시킬 필요는 없을 것이다. 4. 반면에 한 새로운 검사의 추가가 기준변인에 대한 예언능력을 증가시켜 준다면 이 변인은 부가적 타당도가 있다고 말한다. 5. 여러 개의 검사점수를 통합하여 하나의 종합변인으로 할 때 첨가된 예언변인들의 공헌도는 일반적으로 급격하게 감소되는 현상을 보여 주고 있다. 6. 일반적으로 3~4개의 변인이 예언변인으로 포함되면 그 이상의 예언변인의 첨가는 부가적 타당도를 갖지 못하고 있다. |
부모교육 父母敎育 parent education
|
1. 유치원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부모들에게 아동발달?교육과정 등을 알려주고, 가정에서의 협력을 도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된 교육 2. 1965년 미국 연방정부에서 저소득층의 어린이들을 위해 헤드스타아트 프로그램(Head Start Program)을 시작한 이후 유아교육 현장에 부모의 직접적?간접적인 참여가 강조되면서 더욱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3. 부모의 참여를 위한 프로그램에 통합되기도 하지만 부모로서 효율적인 양육태도 및 방법을 지니도록 교육하는 것을 일컫는다. 4. 신생아 교육법, 영아(?兒) 및 유아를 위한 부모교육, 분만예정 산모를 위한 교육,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 보조자 역할을 위한 교육, 청소년을 가진 부모를 위한 교육 등 발달단계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다. 5. 부모 됨을 생리적인 견지에서만 보지 않고 전문직으로 보고 있으며, 어린이들에게 미치는 부모의 영향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가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
부적 강화 負的强化 negative reinforcement
|
1. 어떤 반응 또는 행동에 대하여 주어지던 자극을 제거함으로써 그 행동의 빈도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 2. 흔히 어떤 행동에 대하여 제공되던 혐오자극을 제거함으로써 그 행동을 증강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3. 간혹 부적 강화와 벌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 4. 벌은 어떤 자극의 제공에 의해 행동의 빈도가 감소되거나 강도가 약화된 것을 가리키나 부적 강화는 행동의 강도나 빈도가 높아지는 것을 가리키며 자극의 제공이 아니라 자극의 제거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
부적 상관 負的相關 negative correlation
|
1. 한 변인이 증가할 때 다른 변인의 값이 적어질 때의 상관. 이 두 변인의 관계는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로 나타낼 때 「-」의 값을 갖는다. 2. 예를 들어 아이들이 밖에 나가 노는 시간과 학교성적과의 상관을 내면 대개 r=-.40 정도가 되는데 이것은 두 변인이 커지면 다른 변인이 작아지는 역(逆)의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
분석심리학 分析心理學 analytic psychology
|
1. 프로이드(S. Freud)의 정신분석과 구별되는 융(C.G. Jung)의 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가리키는 심리학의 한 분과 2. 융의 분석심리학은 성격에 대한 정신분석 이론보다 훨씬 덜 결정적인 입장을 취하며, 성(性)이나 공격성(攻擊性)을 덜 강조하는 반면에 신비하고 종교적인 역사나 문화적 배경을 강조하고 있다. 3. 융은 개인적 무의식(無意識) 외에도 집단적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ness)의 개념을 정립하고 신화(神話)나 상징적인 것들 속에 집단적 무의식이 표현되어 있다고 했다. 4. 융의 분석심리학에 있어서는 개인의 경험이 무의식에 억압되어 있는 것을 의식화하는 것만이 아니라 집단적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것을 중시하고 있다. 5. 분석심리학에서는, 무의식에는 파괴적이고 공격적인 특징만이 아니라 건설적이고 창조적 측면도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
분석적 사고 分析的思考 analytic thinking
|
1. 거시적인 수준에서 본다면 드보노(de Bono)가 말하는 지각경험적 사고(perceptual thinking)나 종합적?통합적 사고(synthetic thinking)와 대비되는 논리적 사고의 유형으로서, 문제해결을 위하여 주어진 단위 요소로서의 자료나 정보간의 논리적 관계를 분석하는, 폐쇄된 사고체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수렴적 사고의 한 형태 2. 미시적인 수준에서, 사고의 성향(disposition)에 대비되는 기본적인 지적 조작 기능(operation skill)의 일환으로 본다면, 사고대상 단위 요소들간의 관계를 면밀하게 조사함으로써 기존의 정보를 명료히 하기위한 사고 기능의 한 국면이라 할 수 있다. 3. 후자의 경우, 분석적 조작 기능은 비교?대조(comparison, contrast), 속성 및 요소 파악(인과 관계, 내포?외연 관계, 포함 관계 파악), 핵심 아이디어 식별, 오류 확인(형식적, 비형식적 오류) 등의 하위 지적 조작 기능들로 구성된다. ※ 이 때, 분석적 사고는 범주화, 순서화와 같은 하위 기능들을 포함하는 조직 기능(organizing skill)이나, 귀납, 연역, 유추 등을 포함하는 추론 기능(reasoning)과 대비된다. |
분석철학 分析哲學 analytic philosophy
|
1. 20세기에 전개된 서양의 한 철학적 경향. 오스트리아의 슈리크(M. Schlick) 등이 속한 비엔나 학파에서 전개된 논리적 실증주의(logical positivism), 영국의 경험론(經驗論, empiricism)의 전통에서 전개된 케임브리지 학파의 러셀(B. Russell) 등의 논리적 원자주의(logical atomism) 및 비트겐슈타인(L. Wittgenstein) 등의 일상 언어 분석철학 등 서로 다른 몇 가지의 경향들이 있다. 2. 좁은 의미로는 분석철학을 논리적 원자주의에 한정하는 경우도 있고, 일상 언어 분석철학에 한정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후자를 분석철학의 전형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지배적인 경향이다. 3. 언어와 언어에 의해서 표현되는 개념의 분석이 철학의 주된 관심사이며 또한 방법이다. ※ 이러한 철학적 경향에는 공통된 특징도 있기는 하지만, 철학의 목표와 과제에 있어서는 철학자들 간에 매우 다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4. 분석 철학자의 대표적인 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비트겐슈타인은 초기에 러셀 등과 함께, 언어의 구조는 세계의 구조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믿고 언어의 분석을 통하여 실재(實在)의 진리를 추구하였다. 그러나 일상 언어의 불완전성 때문에 인공적인 이상적 언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5. 비트겐슈타인은 후기에 이르러 초기의 이론을 폐기하고 일상언어의 의미를 명백히 하는 일을 철학의 과제로 삼았다. 그러나 그의 초기와 후기의 철학은 공히 분석철학의 전형적인 것이다. 6. 분석철학의 공통된 특징은 이론의 체계보다는 “지식이란 무엇이냐?”, "무엇이 덕이냐?“ 등, 소크라테스가 추구한 방법으로 언어의 논리와 그 명료화를 통하여 개념을 분석하는 일이다. |
분화 分化 differentiation
|
1. 지적, 정서적인 측면에서의 심리적인 이유(離乳)를 일컫는 말로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자신의 독립성을 이루어내는 과정. 혼돈과 반대의 과정을 일컫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2.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거나 독특하게 전문화되어 나가는 과정, 혹은 특수한 형태나 기능을 갖게 되는 과정. ※ 생물학에서 분화는 특수한 기능이나 목적이 달라지는 과정을 의미하는데 이 개념이 19세기의 사회진화론에 소개되었다. 3. 스펜서(H. Spencer)는 성장과 발달에서 나타나는 선택과 전문화의 현상을 분화라고 하였다. 근대의 사회학자들은 사회적 분화라는 용어로서 개인이나 집단이 더 독특하거나 특수화된 역할 및 이에 의해서 나타나는 지위를 가지게 되는 과정과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 나타나는 결과를 의미한다. 4. 노드(C.C. North)는 사회분화를 기능?지위?문화?이해관계의 네 차원에서 고찰하여 이 방면의 고전적인 연구를 쌓았다. 최근에는 개발도상국의 발전이론과도 관련되어 주목을 끌고 있다. 5. 분화의 근본원인은 낡고 덜 특수화된 사회적 유형과 구조가 새로운 사회의 상태에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인데, 즉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낮은 차원에 머물러 있는 사회적 현상에 긴장이 생겨 균형이 파괴되면 사회의 분화가 촉진되며 이 분화는 다시 장기간의 사회변동을 초래하게 된다. 이 현상을 발전으로 볼 수도 있다. |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
1. 어떤 구체적인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그 해결방안을 생각할 때 판단이나 비판을 일단 중지하고 질(質)을 고려함이 없이 머리 속에 떠오른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얻는 방법이다. 후에 이 아이디어들을 결합시키거나 개선하도록 하여 자유연상(自由聯想)을 요구했을 때 보다 더 좋은 아이디어를 산출(産出)할 수 있다는 것이다. 2. 1953년에 오스번(A.F. Osbarn)이 제안한 방법이다. |
비언어성검사 非言語性檢査 non-verbal test
|
1. 문항의 진술과 해답에 있어서 기호나 도형 및 그림 등과 같은 비언어적 내용으로 구성된 검사 2. 표준화 심리검사를 분류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언어적 검사, 비언어적 검사 및 작동(作動)에 의한 검사로 구분할 수 있다. 3. 비언어적 검사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군대용 베타(β)지능검사를 들 수 있다. 이 검사는 문자의 해독과 언어구사능력을 요구하지 않는 기호와 도형으로만 구성된 검사이다. 군대용 알파(α) 지능검사는 언어에 의한 지능검사로 미국 군인의 선발과 배치를 위하여 제작된 검사이나 문맹자에게는 실시할 수 없으므로 이와 동등한 수준의 지능검사로서 문맹자에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군대용 베타 지능검사이다. 4. 초등학교 이전의 아동의 지능검사 그리고 일반 지능검사 속에도 공간지각, 도형추리 등의 능력을 재기 위한 비언어적 검사내용들도 들어 있다. 5. 단, 성격검사에도 올포-버논의 가치관검사는 그림의 내용을 통하여 가치관을 잴 수 있도록 하는 그림형 가치관검사가 있고 또는 그림 좌절검사 등도 비언어성 검사의 한 예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