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간격 강화계획 變動間隔强化計劃 variable interval reinforcement schedule
|
1. 선행한 강화로부터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한 뒤에 나타나는 반응을 강화하는 간헐강화(間歇强化) 계획의 일종 2. 강화와 강화간의 시간간격은 일정하지 않고 임의로 정한 시간범위내에서 어떤 평균시간을 중심으로 변한다 3. 두 강화간의 평균시간 간격은 주로 분(分)으로 표시되며, ‘VI 5’란 평균 5분 간격을 가진 변동간격 계획이란 뜻이다. 4. 변동간격(VI) 강화계획에서의 반응학습은 느리면서도 꾸준한 반응을 나타내는 특징을 보인다. |
변동비율 강화계획 變動比率强化計劃 variable ratio reinforcement schedule
|
1. 선행(先行)한 강화로부터 수 개의 반응이 나타났을 때 강화하는 간헐강화 계획의 일종 2. 강화와 강화간의 반응수는 일정하지 않고 임의로 정한 어떤 평균 반응수를 중심으로 변동한다. 3. VR 50이란 평균 50번째 반응이 강화된다는 뜻이다. 4. 변동비율(VR) 강화계획에서는 급속도의 반응학습을 하는 특징이 있다. |
변량 變量 variance
|
1. 한 분포의 산술평균으로부터 각 점수까지의 거리, 즉 편차점수(偏差點數)를 자승해서 이를 모두 합하여 그 분포의 각 점수를 X, 산술평균을 , 사례수를 N, 그리고 변량을 V라고 표시하면, 변량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2. 한 분포의 변산도를 나타내는 표준편자(標準偏差)를 제곱한 값이 곧 변량이며, 기호로는 대개 혹은 으로 표시하는 수가 많다. ?표준편차 |
변별학습 辨別學習 discriminative learning
|
1. 몇 가지의 대안 중에서 적절한 것을 선택하는 학습 2. 동물실험의 경우 먹이가 있는 곳으로 가기 위해서는 우회전을 하고 물이 있는 곳으로 가기 위해서는 좌회전을 하는 행동을 정확하게 하는 것 등이 변별학습의 예이다. |
변산도 變散度 variability
|
1. 한 집단 전체점수의 변산의 정도이다. 이를 요약해 주는 지수를 변산도 지수라 한다. 2. 흔히 사용되는 지수로서는 범위와 표준편차 그리고 사분편차와 평균편차가 있다. 3. 둘 또는 그 이상의 집단을 비교하고자 할 때 대표치에 의한 점수의 수준뿐만 아니라 점수의 흩어진 정도, 즉 변산의 정도를 비교할 필요가 있게 된다. 4. 저울이나 자[尺] 등의 측정도구가 얼마나 일관성 있게 재어주고 있느냐 하는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지수로서 변산도 지수가 사용된다. 5. 한 개인의 판매량의 변화, 작업능률의 변화의 정도, 동일한 자극에 대한 여러 다른 시기의 반응의 변산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으로서도 이용된다. 6. 추리통계에 있어서 변산의 측정은 그 기초가 된다. 즉, 표집에 따른 변산의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전집에 관한 전집치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범위, 표준편차, 사분편차, 평균편차 |
변인 變因 variable
|
1.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일련의 개체(個體)가 어떤 속성에 있어서 서로 구별될 수 있을 때의 속성 2. 개체 : 연구의 관심이 되는 분석의 단위 3. 분석의 단위는 한 학교, 또는 지역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개개인이 될 수도 있고, 또는 특수한 경우에는 한 학교, 또는 지역사회가 분석단위의 한 개체를 이루는 경우가 있다. 4. 변인은 그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⑴ 양화(量化)할 수 있느냐의 여부에 따라 질적 변인(變因)과 양적 변인(量的變因)으로 구분되고, 또 양적 변인은 주어진 범위 내에 어떤 특정한 값만 같게 되느냐, 또는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비연속적 변인과 연속적 변인으로 구분된다. ⑵ 측정의 수준에 다라 명명변인(命名變因)?서열(序列)변인?동간(同間)변인 및 비율(比率)변인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⑶ 연구와 관련하여 연구자가 임의적으로 조작하는 변인을 독립변인, 그리고 이 독립변인에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되는 연구자의 관심의 변인은 종속변인이라고도 부른다. ⑷ 실험연구가 아닌 기술연구에 있어서는 독립변인 대신에 예언변인, 종속변인 대신에 기준변인이라고도 부른다. |
변증법 辨證法 dialectic
|
1. 그리스어의 디알렉티케 테크네(dialektik? techn?)에서 유래한 사고의 전개방법 2. 원래 대화 또는 문답의 예술을 의미하였다. 3. 이러한 대화법은 엘레아(Elea)의 제논(Zenon)에게서 기원하였으며, 플라톤(Platon)은 이데아의 인식을 위한 학문의 방법을 변증법이라 하였다. 4. 근대에 와서 변증법을 학문의 적극적인 방법으로 받아들여 발전시킨 사람은 헤겔(G.W.F. Hegel)이다. 그에 있어서 변증법은 절대자(絶對者)의 자기운동의 형식으로서 세 개의 단계를 거치며 전개된다. 이 세 단계는 각각 즉자적(卽自的, an sich), 대자적(對自的, fur sich), 즉자대자적(卽自對自的, an und fur sich) 단계라고 불리어진다. ⑴ 즉자적 단계 : 직접적 긍정의 단계 ⑵ 대자적 단계 : 부정의 단계 ⑶ 즉자대자적 단계 : 부정의 부정(否定)의 단계?제 1, 제 2의 단계를 종합 통일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통일을 지양(止揚)이라고 부르는데 이 말에는 「고양(高揚)한다」「폐기한다」「보존한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5. 헤겔의 체계는 이러하나 변증법에 의하여 일관되고 있으며, 절대적 이념(理念)의 자기발전이라는 관념론적 해석을 유물론적 입장에서 해석한 것이 마르크스(K. Marx)의 유물변증법이다. |
병행 놀이 竝行― parallel play
|
1. 유아(幼兒)가 같은 종류의 장난감을 사용하면서 나란히 앉아 놀이를 하나, 실제로 장난감을 함께 나누면서 놀이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독립적으로 하는 놀이 2. 예컨대, 함께 노래 놀이를 할 때, 놀이 도중 서로 이야기하거나 다른 아동이 하는 것을 보거나 모방하는 일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각자 자신의 활동을 하고 있는 경우에 적용되는 개념이다. |
보상 補償 compensation
|
비교적 자신 있는 행동이나 태도를 선택하여 그 방면에서 남을 능가함으로써 자신의 열등감?무력감 등을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극복하려는 심리적 기제(機制) |
보상교육 補償敎育 compensatory education
|
1. 주로 빈곤 및 문화적 박탈로 인하여 통상적인 교육 기회 및 교육 서비스를 받지 못했던 자 또는 그것들로부터 이익을 받지 못했던 자들을 대상으로 교육력의 회복, 문화 향우 능력의 신장, 교육기획의 확대 등의 형태에 의하여 통상적인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서비스를 개선하기도 하고 이에 부가해서 교육적인 불리함을 보상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교육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2. 지능 개발을 위하여 교육적 환경을 보다 풍부하게 하기 위한 교육과 개별적인 능력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하여 치료교육을 중시하는 두 가지의 형태가 있다. 전자가 아동을 위한 보상 교육의 주된 목표라고 한다면, 후자는 성인을 위한 보상교육의 주요 내용을 이룬다. |
보통교육 普通敎育 common education
|
1.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실시하는 일반적이며 기초적인 교육으로 좁은 영역을 깊이 있게 다루는 전문교육 등과 대비되는 말이다. 2. 모든 국민에게 일반적이며 공통이 되는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국민들의 관심(interest)을 공유하게 하고, 상호간에 이해를 증진하는 기능을 한다. 3. 근세 이후 유럽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들은 대체로 제도적으로는 의무교육 제도의 확대, 내용적으로는 보통교육의 증시와 같은 방향으로 교육정책을 전개시켰다. ?의무교육, 공통 교육과정 |
보통학교 普通學校
|
1. 현재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일제시대의 초등교육기관 2. 일제의 통감부 지배 아래 1906년 「보통학교령」(칙령 44호, 8.27)이 제정됨으로써 그 동안 소학교(小學校)로 불리우던 초등학교의 명칭을 보통학교로 바꾸었으며, 1938년 제 3차 조선교육령(3. 3)의 개정에 의해 다시 소학교라는 명칭으로 복귀하기 전까지 쓰였다. 3. 보통학교령에 의해서 소학교의 명칭이 보통학교로 바뀌면서 종래 5-6년의 수학기간이 4년으로 단축되는 한편 심상과와 고등과의 구분이 통합되었으며, 일본어 교육이 점차 강화되어 갔다. 4. 보통학교라는 명칭의 사용에는 이른바 「간이」(簡易)와 「실용」(實用)을 앞세운 일본제국주의의 식민국에 대한 교육차별화의 정책적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은 일제가 전시체제에 돌입한 이후 이른바 「내선일체」(內鮮一體)를 앞세워 조선교육령을 개정하고 초등학교의 명칭을 소학교로 자국과 동일하게 바꾸었다는 사실에서도 엿볼 수 있다. |
보편교육 普遍敎育 universal education
|
1. 선발주의적 또는 귀족주의적인 특수 엘리트 교육에 대응되는 용어로서, 교육을 받고자 원하는 사람은 모두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교육 2. 어떤 선발된 집단만을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계급이나 경제적?지적 능력에 관계없이 누구나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 보편주의 교육이다. 3. 경제가 발전하고 산업구조가 변모함에 따라서 점차 보다 높은 수준의 교육을 요구하게 되고, 폭발적으로 급증하는 새로운 지식을 학교교육만으로는 충분히 소화할 수 없으므로, 생애교육(生涯敎育)까지 강조하게 되는 「학습하는 사회」의 도래(到來)와 더불어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초등 또는 중등교육뿐만 아니라 고등교육까지도 보편화시킬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4. 우리나라에서도 보편교육의 확대를 위하여 중학교 교육의 의무화와 더불어 고교 평준화정책?고등교육 기회확대 정책 등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 실시하고 있다. 5. 보편교육을 확대 실시 할 때 발생되는 문제는 다인수(多人數)의 교육과 이질집단(異質集團)의 교육이다. 6. 보편교육을 확대 실시 할 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내용과 방법의 풍부화와 다양화를 위한 연구 개발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보편성 普遍性 universality
|
1. 특수성을 가진 여러 개체들이 공유(公有)하고 있는 특성. 2. 개채들이 공유하고 있는 특성에 의해서 여러 개체들이 하나의 집합을 성립시킨다. 3. 보편성은 한 집합을 성립시키는 원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4. 어떤 집합의 개념을 우주(宇宙)에 적용할 때, 모든 존재하는 사물이 공유(公有)하고 있는 궁극적 특성을 일컫는 것이 된다. 5. 플라톤(Platon)은, 보편성은 이데아이며 그것은 존재하는 실체라고 생각하였으나, 유명론자(唯名論者)들은 보편성이란 일반성을 나타내는 개념에 불과할 뿐 결코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특수성 |
보편적 사회화 普遍的社會化 general socialization
|
1. 한 사회의 공통적 감성과 신념 즉, 집합의식을 새로운 세대에 내면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2. 뒤르껭(E. Durkheim)은 사회가 계속 동질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서 사회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바로 보편적 사회화를 통해서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3. 뒤르껭에 의하면 중세에는 종교가 보편적인 신념을 모든 계층의 사람들에게 심어주는 기능을 했다고 보고 산업사회에 와서는 학교교육이 대리적인 기능을 수행한다고 분석하였다. 4. “아동이 소속해 있는 사회적 계층이 어떤 것이든 모든 아동들에게 일률적이고 반복적으로 가르쳐야할 사상과 정서와 관습이 많다는 것을 부정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사회가 존속하려면 그 구성원들 사이에 동질성이 충분히 유지되지 않으면 안된다. 교육은 아동에게 어릴 때부터 집단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동일성을 형성시킴으로써 사회의 동질성을 영속시키고 강화한다.”(이종각 역, 《교육과 사회학》, 1978) 5. 보편적 사회화는 전체로서의 사회가 요구하는 신체적, 지적, 도덕적 특성의 함양이며 이는 교육을 통해서 가능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