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정 모형 社會科程模型 model of social process
|
1. 사회심리학적 틀에 기초하여 사회체제의 행동을 규범적 요소와 개인적 요소간의 상호작용의 산물로 설명하는 모형 2. 겟젤스(Getzels)와 구바(Guba)에 의하여 확립 3. 사회적 행위는 개인의 행위에 대한 유형화된 규범적 역할기대로 구성된 환경을 개인의 성격을 이루는 욕구 및 기질의 유형과 조화되는 방향으로 이끌려는 시도의 결과로 도출된다. 이러한 관계를 겟젤스는 B=f(R× P) (B:사회적 행위, f:함수, R:역할, P:인성)이라는 함수로 표시한다. 행정은 사회체제 속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과정으로서 구조, 기능, 운영의 세 차원에서 분석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행정은 사회체제내 상위자와 하위자 관계가 계층을 이루는 형태로 파악 된다. 4. 운영 면에서 행정은 개인 대 개인의 상호작용의 과정이다. 5. 역할과 인성의 관계로 구성된 이러한 사회체제에는 역할갈등, 인성갈등, 역할인성 갈등이 내재되어 있다. ⑴ 역할갈등 : 하나의 역할 담당자가 서로 배타적인 또는 모순이 되는 많은 역할기대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요구받거나, 한 개인이 동시에 여러 가지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각각의 역할기대간에 생기는 갈등이다. ⑵ 인성갈등 : 역할담당자의 인성 내에서 서로 대립하는 욕구와 기질이 작용할 때 발생한다. ⑶ 역할-인성갈등 : 외부적으로 규정된 역할과 내부적으로 정의된 인성간의 부조화로 생긴다. 6. 객관적으로는 역할과 인성간에 갈등이 없지만 역할 담당자가 역할을 잘못 인식함으로써 갈등이 생기기도 한다. 7. 행정가의 주요 임무는 이상과 같은 갈등을 제거하여 기관 목표 달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
사회도측정법 社會度測定法 sociometry
|
1. 한 개인 또는 한 학생이 자기 동료에 의해서 어떻게 인식되고 받아들여지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여러 방법 2. 한 학급이나 소집단 내의 역동적 사회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또는 어떤 특정한 소집단을 구성하는 데 학생간의 사회적 관계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방법 3. 예 : 같이 일하고 싶은 사람, 공부하고 싶은 사람, 또는 같이 앉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하나 또는 둘 정도 써 내놓도록 한 다음 선택이 제일 많이 된 인기학생(star)을 중앙에도 놓고 외톨박이(isolates)는 주변에 그 위치를 나타내고 그 이외의 학생들은 선택된 정도에 따라 중앙과 주변 사이에 그 위치를 나타낸다. |
사회성의 발달 社會性―發達 social development
|
1. 사회에서 독립된 개인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지는 능력이 연령 도는 발달단계에 따라 나타나거나 획득되는 것 2. 다른 영역의 발달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이 사회성 발달은 인간이 인간의 사회에 접속될 때에 가능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3. 예를 들어 유아기(乳兒期)에는 모자관계의 형성, 학령전기에서는 공격성(攻擊性)의 발달, 성(性) 역할의 학습, 또는 집단의 형성 등의 문제가 있고 소년?소녀기에는 도덕성의 발달, 사회관계의 상보성, 또래 집단의 영향 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며 청년기에 들어서면 가치관의 형성, 사회적 독립성의 성취, 자기역할 정의 등 여러 문제에 당면하게 된다. 4. 일반적으로 사회성 발달은 자기와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꾸준한 재정의(再定義)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
사회재건중심 교육과정 社會再建中心敎育課程 social reconstructionist curriculum
|
1. 1920-30년대 미국에서 태동된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의 한 동향 2. 기존 사회 질서에의 적응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에 반대하여 사회의 새로운 목표의 지향과 사회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데에 교육과정 설계의 초점을 두고 있다. 3. 1950년대에 브라멜드(Brameld)가 이 사조를 발전시키고, 그 이후 프레이리(Freire)의 급진교육개혁 운동, 세인(Shane) 등의 미래 교육학 운동들이 각각 그 방법적 접근은 다르지만, 새로운 사회 건설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재건중심 교육과정의 입장과 맥을 같이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4. 사회재건주의 학자들은 사회는 기득권을 누리는 소수 그룹의 설득과 저지 때문에, 비록 다수의 사람들이 진정으로 바라는 이상적인 가치가 있을 지라도 이를 추구하기 위해서 책임 있는 역할을 감당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그러므로 교육은 시민들로 하여금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가 실현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필요한 의식과 능력을 길러주는 것 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5. 교육과정을 보는 입장 ⑴ 새로운 문화 창조에 대한 헌신을 해야 함 ⑵ 진정한 민주적 질서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 소수 기득권 세력의 영향을 배제하고 근로 대중이 주도력을 갖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함 ⑶ 개인의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가 합의한 틀 안에서 개인적 만족을 찾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학습을 강조함 ⑷ 변화의 가치를 수용하되 민주적 절차에 대한 존중이 필요함 6. 이러한 특징이 반영되기 위해서 교육과정은 인류가 당면하는 심각하고 위기적인 문제들을 학습자들이 대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그러한 심각한 문제들은 단순히 실험실이나 책을 통한 탐구로만 끝날 것이 아니라 지역 공동체의 사람들과 더불어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고 본다. 7. 교육과정 조직은 마치 마차바퀴와 같은 조직 체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정된다. 즉, 해결되어야 할 인류의 심각한 문제를 바퀴의 축이라고 보고, 그 문제 해결에 필요한 학습 내용으로 구성된 코스들을 바퀴의 살에 해당된다고 보며, 인류의 보편적 원칙이나 곤경, 소망에 해당하는 주제들은 바퀴 테두리 또는 둘레와 같은 것으로 상정한다. 이것은 마치 바퀴 둘레가 여러 살들을 하나의 원으로 통일시키는 것처럼, 교육과정에 제시되는 여러 코스들을 하나의 전체로 연결?통일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8. 사회재건중심 교육과정은 새로운 사회 질서 또는 이상적 사회건설에 대한 연구가 강한 곳이면 어느 곳이나 설득력을 가질 수 있는 교육과정이다. 다만 하나의 사실적 현상에 대해서조차도 다른 해석이 가능하고, 각 사람의 관점의 차이에 따라 이상적 사회에 대한 생각이 다를 수 있는 현대 사회에서, 이상적인 사회상에 대한 합의를 어떻게 구하며, 그 방법적 대안을 어떻게 마련하느냐 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여기에 사회재건중심 교육과정의 어려운 과제가 있다. |
사회적 상호작용 社會的相互作用 social interaction
|
1.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람?집단?사회체제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상호이해하거나 어떤 반응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2.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람들은 같은 집단의 성원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서로의 행동을 인정 또는 부정하기도 하고, 역할기대가 형성되며, 서로 신체적으로 떨어져 있어도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3. 현대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상호작용 형태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상징적 상호작용(symbolic interaction)은 중요한 개념의 하나이다. |
사회학습 이론 社會學習理論 social learning theory
|
1. 대인(對人) 및 집단상황에서 일어나는 인간행동의 형성과 변용에 관한 심리학적 이론 2. 이 이론의 입장에서는 인간의 사회적 행동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격 같은 심리적 특성도 사회적 과정, 특히 대인 관계를 통해 학습된다고 본다. 그래서 동물의 행동보다 인간의 학습행동을 중시하며, 언어?인지?동기?태도?가치관 및 퍼스낼리티(personality) 등을 특히 중요시하고, 인간의 사회적 상호관계가 이러한 심리적 특성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의 이러한 특성이 사회적 상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가진다. 3. 대표적인 사회적 학습이론 ⑴ 사회적으로 보상받은 행동은 강화되고, 그렇지 못한 행동은 약화된다는 행동주의와, 심리학적 강화의 원리로 사회적 행동을 설명하는 강화이론 ⑵ 대부분의 학습은 대인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며, 타인의 행동을 모방하고 관찰함으로써 사회적 행동이 학습된다는 관찰학습 또는 모방이론 ⑶ 사회적 상호작용 관계의 상황에서 서로 주고받는 상과 벌, 보상과 희생의 이해관계로서 사회적 행동을 설명하려는 사회적 상호작용 관계의 이론 ⑷ 개념형성?지각?인지조직?태도?신념 및 기대 같은 인간의 내적?심리적 과정, 즉 인지과정을 강조하는 인지이론의 입장 |
산업혁명 産業革命 industrial revolution
|
1. 1760년 영국에서 시작한 산업상의 대변혁 2. 생산체제가 수공업적 가내공업에서 공장제 기계공업으로 바뀐 것 3. 단순히 생산체제만 변화된 것이 아니라 경제기구?사회구조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프랑스의 산업혁명은 영국보다 30~50년 늦게 7월 왕정 하에서 본격적 진전을 개시하였으나 그 속도는 완만하게 제 2 제정기에야 겨우 완성기에 들어갔다. 독일의 산업혁명은 영국?프랑스보다 늦어 1830년대부터 겨우 방직업에서 기계가 도입되기 시작하여 1850년대부터는 석탄?철강?산업 및 철도로 아울러 발흥하게 되었다. 이 산업혁명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지반을 구축하게 되었다. 4. 산업혁명은 교육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새로운 문제를 가져왔다. ⑴ 빈민계층의 교육문제 ⑵ 비숙련공?부녀자?소년근로자의 교육문제 ⑶ 공업도시 주변의 퇴폐적 환경의 교육적 정화에 관련된 문제 등 5. 오웬(R. Owen) 등은 이들을 위한 빈민학교를 세워 교육사업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
삼강오륜 三綱五倫
|
1. 유교의 기본이 되는 세 가지 강령(綱領)과, 그 실천 도덕에 있어서 기본적인 오강목(五綱目) 2. 삼강은 임금과 신하, 어버이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말한다. 이것을 군위신강(君爲臣綱)?부위자강(父爲子綱)?부위부강(夫爲婦綱)으로 표시하였다. 3. 오륜은 《맹자》(孟子)에 나오는 부자유친(父子有親)?군신유의(君臣有義)?부부유별(夫婦有別)?장유유서(長幼有序)?붕우유신(朋友有信)을 말한다. 부모는 자녀에게 인자하고 자녀는 부모에게 존경과 섬김을 다하며, 남편과 아내는 분별 있게 각기 자기의 본분을 다하고, 친구 사이에 있어서는 신의를 지켜야 한다. 장유유서는 집안과 집밖(사회) 양쪽에 걸린 것으로, 집안에서는 형제의 서(序)를 말하고, 사회생활에 있어서는 어른[年長者]과 어린이[年少者]의 서를 뜻한다. 그리고 군신유의는 오늘날의 사회가 왕을 통치하는 봉건시대가 아니므로 왕을 오늘의 국가로 바꿔 생각할 수 있다. 4. 삼강오륜은 중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는 과거 오랫동안 인간사회의 기본적 윤리로 존중되어 왔으며, 지금도 우리의 일상생활에 깊이 뿌리 박혀 있다. |
상관계수 相關係數 correlation coefficient
|
1. 두 변인 또는 여러 변인간의 관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 2. 수학에 있어서 지름과 원둘레와의 관계는 명료한 직선적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사회과학 분야에 있어서 이러한 변인간의 관계를 오차 없이 명료한 관계로 나타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지능과 키와의 관계라든가 또는 지능과 학교성적과의 관계 등은 오차 없이 1대 1의 명료한 관계로 나타낼 수 없다. 그러나 이 관계를 정확한 공식에 의해서 나타낼 수는 없지만 확률적인 의미에서 수량적으로 그 관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를 상관계수라고 부른다. 3. 이러한 두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수량적 지수로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피어슨의 적률 상관계수이고 그 이외의 두 변인의 특수성, 예를 들어 두 변인 중 어느 한 변인이 두 개의 질적인 유목변인인가 또는 두 개의 유목이지만 연속성을 가정할 수 있는가 등의 변인의 측정수준에 따라 양류 상관계수(point biserial correlation), 양분상관(biserial correlation), 사류상관(four-fold correlation), 사분상관(tetrachoric correlation), 유관계수(contingency), 켄달의 등위상관과 일치도계수, 굿만-쿠르스칼의 γ계수 등이 있고 두 변인의 곡선적 관계를 나타내는 계수로 상관비(correlation ratio)가 있다. 두 변인간의 관계 이외에 한 변인과 다른 변인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중다 유목상관(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이 있으며 일련의 두 쌍의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다원 집단 변인 상관(canonical correlation) 계수 등이 있다. ?적률 상관계수 |
상관 교육과정 相關敎育課程 correlated curriculum
|
1. 분과과정?병렬과정(竝列課程)에서와 같이 교과의 선(subject matter line)에 의하여 고립된 교과 사이를 연결해 교과교육 과정의 분과주의를 타파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한 형태 2. 모든 교과의 상호 관계를 모두 관련짓지는 못하나 두 개 이상의 과목이 과목 자체의 교과의 선을 유지하면서 서로 관련지어져 있는 것인데 이들 교과간의 관련으로는 다음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⑴ 유사(類似) 교과간의 관련; 지리와 역사 등 유사한 교과목간의 관련방식 ⑵ 이질 교과간의 관련; 국어와 역사, 역사와 미술 등 이질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교과간의 관련방식 ⑶ 교과와 생활과의 관련; 교과의 선을 넘어서 교과와 생활과를 관련시키는 방식 3. 예를 들면 산수의 곱셈에서 숫자풀이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생활과 관련되는 내용을 결부시켜 지도함으로써 교과를 운영 전개하는 등의 방법이다. ?관련 교육과정, 상관성 |
상관연구 相關硏究 correlational study
|
1. 실험연구와는 달리 연구자가 주어진 현상을 조작통제하지 않고 자연조건 그대로의 변인간의 관계연구 2. 이 연구의 특징은 연구자가 주어진 현상을 조작하지 않는다는 점 이외에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에 관한 자료수집에 있어서도 시간적인 순서는 아무런 차이가 없으며, 또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직접적으로 내포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3. 이 연구에 있어서 어떤 변인들 간의 관계가 높고 신뢰성이 있다면 이 결과를 실제 예언에 사용할 수가 있다. 4. 이것은 연구방법의 분류에 있어서 기술적 연구(descriptive studies)에 속하는 것으로 그 연구의 특징에 따라 이를 다시 예언연구, 비교인과분석연구, 발달적 연구, 역사적 연구, 조사연구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상담 相談 counselling
|
1. 카운슬러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전문적 지식과 기능을 가지고 내담자(來談者) 자신과 환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며, 합리적이고 현실적이며 효율적인 행동양식을 증진시키거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원조하는 활동 2. 특징 ⑴ 모든 행동변화나 의사결정은 내담자가 원하는 것이어야 한다. ⑵ 상담은 자발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어야 하며 개인이 선택하고 결정할 권리를 존중해야 된다. ⑶ 합리적 계획, 문제해결, 의사결정, 환경적 압력에 대한 대응, 일상 행동습관 등과 같은 일상생활의 문제에 중점을 둔다. 3. 상담은 흔히 심리치료와 같은 의미로도 쓰인다. 그러나 상담은 정신질환이 없는 정상적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임에 반해서 심리치료는 신경증이나 정신병 같은 이상행동(異常行動)을 주 대상으로 하고 있다. 4. 심리치료와 같이 그 이론적 배경이 정신분석학?행동주의심리학?인지심리학?생태심리학 등의 발달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그 대상문제에 따라서 성격상담?학업상담?진로상담 등으로 분류하기도 하고, 그 형태에 따라서 개인상담?가족상담?집단상담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심리치료, 개인상담, 집단상담 |
상대주의 相對主義 relativism
|
1. 진리는 상대적이어서, 개인이나 집단에 따라서, 혹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서 다르므로 객관적인 판단기준이란 있을 수 없다는, 절대주의에 대립되는 주장 2. 인식론적 상대주의는, 인간의 모든 지식은 사람에 따라서, 그리고 신체적-감각적 기관의 상태에 따라서 상대적이라고 주장하는 학설이며, 윤리적 상대주의는 행(行)의 선악판단은 개인이나 집단에 따라서 다르다고 주장하는 학설이다. ?절대주의 |
상대평가 相對評價 normative evaluation
|
1. 한 학생이 받은 점수가 다른 학생들이 받은 점수에 의해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평가방식. 2. 이 경우 개개 학생이 받은 점수는 그 시험에서 그가 속한 집단이 취득한 평균 점수를 준거로 하여 평가되기 때문에 규준지향평가(規準指向評價)라고도 한다. ?규준지향적 평가 |
상부구조 上部構造 [영]super structure [독]Uberbau
|
1. 마르크스(K. Marx)의 유물사관(唯物史觀)에서 비롯되었으며, 사회체제의 구조를 이원화(二元化)할 때 쓰여지는 개념 2. 인간의 사회행동을 경제적 생산관계의 총화(總和)로 규정하고 이 생산관계를 사회의 토대로 볼 때, 그것이 그 사회의 정치적?법률적 여러 제도를 규정?결정하는 동인(動因)이 된다는 의미에서 하부구조(下部構造)라 하고, 이 하부구조의 생산관계를 반영하여 그 이해관계를 조직화 한 것을 상부구조라 하는데, 그것은 법률제도와 정치제도를 내용으로 하는 사회적 구조이고 그것을 합리화 한 것이 이데올로기의 세계인 것이다. 3. 하부구조는 사회의 기본적인 것으로 파악되며, 상부구조는 파생적?종속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