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주지주의 反主知主義 anti-intellectualism
|
1. 합리성의 가치를 거의 절대시해 온 서양의 전통적 주지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 나타난 정신. 2. 반주지주의적 경향의 유래를 구태여 따져본다면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20세기의 시대적 산물이다. 3. 반주지주의라는 그 이름이 주는 느낌은 지성보다는 감성(感性)에 더 높은 가치를 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반주지주의자들은 감성적 요소의 가치를 주장하는 데 있어서 합리성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결국 반주지주의는 제반 인간사(人間事) 중에서 합리성의 역할과 비합리성의 역할을 합리적으로 따져 비합리성의 역할을 부각시키는 데 역점을 두었다. ※ 이런 면에서 반주지주의는 계몽주의의 진정한 상속자라고 할 수 있다. 4. 반주지주의자는 그 밑바탕에 인간의 사고력이 인간을 보다 훌륭하게 만들 수 있다는 굳은 신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프로이드(S. Freud) 같은 사람도 합리성보다는 리비도(Libido), 에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같은 인간의 비합리적인 것들은 연구하였지만 사실상 인간의 마음의 한 측면을 보다 과학적으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하는 데 그 근본 뜻이 있었다. 5. 어떻게 보면 반주지주의 때문에 주지주의가 더욱 빛을 본다고 할 수도 있다. ?주지주의 |
발견적 發見的 heuristic
|
1. 비구조화된 엉성한 사태나 환경에서 질서나 원리를 찾아내는 것 2. 학교학습 사태에서 학생들에게 학습의 주된 역할을 하도록 이끄는 수업의 상황을 일컫는다. ?발견적 수업 |
발견적 수업 發見的授業 discovery instruction
|
1.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학습재료 또는 학습과제를 최종적인 형태로 제시하지 않고, 그 최종적인 형태를 학생 자신이 찾도록 하는 수업 2. 이는 개념?원리?명제 등을 그대로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설명식 수업이나 수용적(受容的) 학습에 반대되는 수업방법이다. 3. 발견적 수업에서는 교사는 항상 비구조적인 환경을 구성하여 학생이 이를 구조화하거나 구조를 찾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4. 발견적 수업은 그 수준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된다. ⑴ 가장 낮은 수준으로서 학습문제 또는 목표와 수단(또는 단서)을 제시하면서 해결안을 학생이 찾도록 하는 방법 ⑵ 문제와 목표는 교사가 제시하면서 해결을 위한 수단과 해결안 두 가지를 학생이 찾도록 하는 방법 ⑶ 문제의 설정까지 학생이 발견하여 설정하도록 하는 수업방법 5. 발견적 수업은 학생들의 지적 수준이 높거나 연령이 높은 집단, 혹은 선행학습이 갖추어져 있는 집단이나 학습동기가 높은 집단에 적절한 수업방법이다. 6. 학습과제의 측면에서는, 인지전략(認知戰略)이나 가치관 형성과 같은 고차적(高次的)인 학습과제일 경우에 발견적 수업이 효과적이다. |
발견적 학습 發見的學習 discovery learning
|
1. 교사의 도움 없이 학생 스스로가 어떠한 과제의 학습을 완수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2. 1960년대의 학문중심적 교육과정에서 특히 이 방법이 강조되었다. 3. 학생에게만 맡기지 않고 교사가 어느 정도의 지도를 하여 발견하게 하는 방법을 지도적 발견(guided discovery)이라고도 한다. 4. 전적으로 학생에게만 맡기는 발견적 학습은 낭비적이라는 반성과 비판이 있어 지도와 발견을 적절하게 배분하는 지도적 발견이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
발달 發達 development
|
1. 유기체가 그 생명활동에 있어서 환경에 적응하여 가는 과정 2. 동물과 인간의 발달은 생후부터 사망까지 전기간에 걸쳐 일어나며, 인간의 경우에는 아동발달에 특히 중점을 둔다. 3. 발달의 개념은 카마이클(L. Carmichael)이 주장하는 것처럼 성장과 양적인 증가로 발달을 간주하는 것이며, 둘째는 뵐러(K. Buhler)와 게젤(A. Gesell)의 입장과 같이 발달을 보다 나은 단계로 전개되는 질적인 변화로 이해하는 것이다. 셋째는 스턴(W. Stern)의 주장과 같이 발달의 개념에 결정적 요인, 즉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규정은 현재에는 그렇게 중요시되지 않는다. 4. 발달과 학습의 차이는 발달이 학습의 특수한 유형이라는 점에 있다. 다른 각도에서 보면 발달은 보다 넓은 뜻으로 유기체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5. 발달과정은 다양한 연령수준을 종단적 또는 횡단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단기간의 효과를 규명할 수도 있다. 6. 근자에는 전생애 발달(life-span development)을 전후 맥락 속에서 연구하는 새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
발달과업 發達課業 developmental task
|
1. 한 특정 문화권(文化圈) 또는 하위문화권 내에서 발달하는 각 아동이 당면하게 되는 과업 2. 해비거스트(R.J. Havighurst)는 발달과업의 개념을 발달전망의 측면에서 정상적인 인간 발달을 기술하는 데 사용했다. 3. 아동이 각 발달과업을 완수하게 될 때까지 각 발달과업들은 대체로 아동의 동기유발(動機誘發)과 흥미의 핵심을 이루게 되며 과업이 완수 된 후에는 아동을 묘사하고 각 아동들을 비교하는 데에 중요한 기점으로 사용하게 된다. 4. 발달과업은 각 문화권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으나 대개가 연령에 따라 계열화(系列化)되어 있다. |
발달단계 發達段階 developmental stage
|
1. 인간발달의 연속선상에서 현저하게 구분되는 어떤 기준에 따른 단계 2. 각 단계에 도달하기 전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어떤 특징적인 행동이나 특성이 어떤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처음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하나의 단계는 새로운 단계로 들어가면서 끝나게 된다. 3. 프로이드(S. Freud)는 성본능(性本能)과 관련지어서 인간의 발달단계를 구강기(口腔期, oral stage)?항문기(肛門期, anal stage)?성기기(性器期, phallic stage)?잠복기(潛伏期, latent stage)?성욕기(性慾期, genital stage) 등의 5기로 구분하였다. 4. 피아제(J. Piaget)는 사고(思考)와 동작이 통정(統整)된 심리적 도식의 내용이 변화함에 따라 발달단계를 감각운동기(sensory-motor stage)?전조작기(preoperational stage)?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stage) 및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stage)의 4기로 구분하였다. 5. 헐로크(E. B. Hurlock)는 개인의 전 발달 과정을 10단계로 구분하였다. 즉, 임신부터 출생까지를 출산전기, 출생부터 2주까지를 신생아기, 2주~2세를 유아기(幼兒期), 2~6세를 아동초기, 6~10세 또는 12세를 아동후기, 10(또는 12)~14세를 사춘기, 14~17세를 청년초기, 17~21세를 청년후기, 21~60세를 성년기, 60 이후를 노년기라고 하였다. |
발생론적 인식론 發生論的認識論 genetic epistemology
|
1. 인간이 세계에 대한 지식을 형성하고, 의미화(意味化)하는 과정 및 그 발달에 관심을 가지는 분야. 2. 피아제(J. Piaget)의 지적발달이론은 개체가 환경 또는 세계를 인식하는 과정에 주안(主眼)을 두며, 그의 발달이론을 일명 발생론적 인식론이라고 한다. 3. 인간의 정신적 과정 또는 인지과정(認知過程)이란 생물학적 과정의 일부로 이는 곧 적응의 과정이며, 개체가 외계의 지식을 동화(assimilation)하고 조절(accommodation)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4. 나아가 그는 지식의 논리적?합리적 조직과정과 그에 상응하는 형식적?심리적 과정 사이에는 일종의 상등성(相等性, parallelism)이 있다는 기본가정을 세우고 있다. 5. 따라서 피아제의 발생론적 인식론은 개체의 발달에 따르는 인지구조의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하며, 이는 곧 각 발달단계에서 나타나는 논리적 과정과 그 선행조건(先行條件)에 대한 연구에 기초를 두고 있다. 6. 인지적 발달이론으로서 피아제의 발생론적 인식론의 초점 ⑴ 성장과정에 따르는 환경에의 적응 ⑵ 내부 구조의 형성에 따른 지적 적응 ⑶ 개체와 환경의 상호 작용에 따른 인지적 또는 인식적(認識的) 관계 |
방법론 方法論 methodology
|
1. 탐구의 방법에 관한 이론 2. 방법론이라는 말은 여러 가지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⑴ 과학적 방법론인 경우에 가설(假說)을 설정하고 관찰이나 실험을 계획하여 실시한 결과로 얻어진 자료를 처리?발표?검토하는 과정의 원리들을 연구한 이론을 뜻한다. 또한 실험이나 관찰의 설계 혹은 통계적 방법에 관한 원리 등을 포함한다. ⑵ 과학적 방법론에 의해서 획득된 결과와 관련된 가설이나 그 이론적 배경을 밝힘과 동시에 거기에 사용된 개념을 명료화하고 발견된 사실이나 법칙을 정당화하며 관련된 연구의 과제를 밝히는 등, 그 결과를 객관화하고자 할 때의 논리적 체계를 뜻하기도 한다. ⑶ 듀이(J. Dewey)의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나 데카르트(R. Decartes)의 인식원리와 같이 탐구행위의 심리적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을 뜻하는 경우도 있다. ⑷ 어떤 과학적 탐구에서 쓰이는 특수한 기술을 뜻하기도 한다. 예컨대, 심리학자들이 사용하는 로오르샤하(Rohrschach)의 테스트, 프로이드(S. Freud)의 자유 연상법, 파블로프(I. Pavlov)의 조건반사법, 스키너(B.F. Skinner)의 강화반응법(reinforcement) 등의 기법이 그것이다. |
방어기제 防禦機制 defense mechanism
|
1. 자아(自我)를 불안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채택하게 되는 현실왜곡(現實歪曲)의 전략 2. 개인이 발달과정의 어떤 시기에는 만족시킬 수 있던 어떤 충동이 「벌」이 나 「사회적 조건」 때문에 억제되어야 할 경우에 생기게 된다. 3. 목적 : 불안이나 위협을 통제하거나 회피 4. 방어기제에는 억압(抑壓)?투사(投射)?고립(孤立)?부인(否認)?합리화(合理化) 등이 있다. 5. 인간의 이상행동의 이면(裏面)에는 이러한 방어기제가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현실에 대한 통찰(洞察)의 달성에 큰 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 |
백분위 점수 百分位點數 percentile rank
|
1. 한 주어진 집단의 점수 분포 상에서 한 개인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유도점수(誘導點數)의 하나 2. 한 집단의 점수 분포 상에서 어떤 일정한 점수에 대한 백분위란 그 점수 미만에 놓여 있는 사례의 전체 사례에 대한 백분을 말한다. 3. 예를 들어 한 적성검사에서 A라는 사람이 170점을 받았는데 이 점수 밑에 전체 사례의 75%가 놓여 있다면, A의 백분위 점수, 또는 백분위는 75가 된다. |
백지설 白紙設 theory of tabula rasa
|
1. 인간에게는 천부적으로 주어진 본유관념(本有觀念)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모든 관념은 후천적(後天的, a posteriori)인 경험을 통해서 이룩된다는 로크(J. Locke)의 학설 2. 인간의 마음은 문자 그대로 태어날 때 백지(白紙)와 같이 아무런 관념도 없는 것이다. 3. 우리가 알거나 혹은 생각하는 모든 사물들은 사실은 우리들의 경험을 통해서 얻어진 것이다. 우리들의 지식도 감각적 경험을 통하거나 아니면 마음에 반영된 것을 반성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4. 백지설에서는 모든 근본적인 관념은 감각의 대상이거나 혹은 반성의 대상이며, 생각된 마음의 작용 이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고 본다. 5. 백지설에 의하면 지식의 원천은 둘인데 하나는 감각(sensation)이고, 다른 하나는 반성(reflection)이다. 6. 로크는 선천적(先天的, a priori)인 인식론에 반대하여 감각적 경험에 토대한 인식론을 주장했다. |
버즈 학습 ―學習 buzz learning
|
1. 학습 분단을 구성하여 토의학습을 전개하는 한 형태 2. 벌들이 윙윙거리는 것과 같이 분단으로 구성된 학생들이 조용히 또는 왁자지껄하게 의견을 교환하면서 주체적으로 학습하는 그룹 학습의 한 방법을 말한다. 3. 버즈법에 의한 대표적인 그룹 편성은 「6?6법」인데 이것은 6명씩으로 구성하여 6분간 토의한 결과를 다시 전체가 모여 토의한다. 4. 토의학습은 흔히 몇몇 학생의 독무대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그룹 전원이 토론에 적극 참여하여 소극적 성원이 없도록 함으로써 학습에서 자아관여(自我關與)와 사회적 협동심을 높이고 의사발표의 기술과 요령 있는 발표능력을 높이려는 점을 주안점으로 한다. ?소집단 수업 |
번스타인의 규칙(어법), 분류, 구획 ―規則(語法), 分類, 區劃 Bernstein's codes, classification, framin
|
1. 어법(code)의 개념은 어떤 언어적 메시지를 선택하고 조직하는 것과 상관하여 다양한 사회적 맥락이나 환경들을 관련짓고 해석하는 방식을 지칭함 ⑴ 번스타인은 언어를 정교한 어법(elaborated code)과 제한적 어법(restricted code)으로 구분하며 나아가 사회계급과 이러한 어법의 사용간의 관계를 제시한다. ⑵ 정교한 어법은 사회적인 지위나 상황보다 개인적인 특성을 더욱 강조하는 것임에 반해 제한적 어법은 사회구조나 상황에 더 중점을 두게 된다. ⑶ 노동계급의 자녀들은 사회적 상황이나 맥락으로부터 독립적인 정교한 어법보다는 제한적 어법에 쉽게 적응되어 있으며, 반면에 중산층 자녀들은 정교한 어법에 쉽게 적응되어 있다. ⑷ 정교한 어법이 의미전달의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학교교육의 환경에서는 제한적 어법에 익숙해져 있는 하층계급의 자녀들을 소외시킴으로써 기존의 계급구조를 유지하고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2. 분류(classification)는 교육과정의 내용들이 서로 얼마나 명확하게 구분 지어져 있으며 그 경계가 분명히 드러나는 정도를 지칭한다. ⑴ 분류가 강하면(strong classification) 교육내용들간의 경계가 분명히 드러난다. ⑵ 분류가 약하면(weak classification) 그 경계가 불분명해지게 된다. 3. 구획(framing)은 지식이 전달되고 수용되는 방식에 있어서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의 특성을 지칭한다. ⑴ 강한 구획(strong framing)은 수업상황에서 어떠한 지식이 수용되는가를 결정짓는데 교사의 영향력은 증대되는 반면 학생의 영향력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⑵ 번스타인은 교육과정의 분류(classification)와 상관하여 강한 분류의 경우에는 집합형의 구조(collection)를 띠어 교육과 생산과의 구분이 분명하여 가치의 혼란이나 교육외적인 힘의 교육에의 영향력이 줄어들어 교육의 자율성이 보장된다고 보았다. ⑶ 반면에, 약한 분류의 경우에는 통합형의 구조(integration)를 띠어 교육과 생산간의 구분이 불분명해지고 교육에 있어서의 가치혼란과 더불어 외부적인 영향력이 증대되고 교육의 자율성이 위축되는 경향을 나타내게 된다고 한다. |
범애주의 汎愛主義 philanthropinism
|
1.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반까지 독일과 스위스를 중심으로 전개된 실제적인 교육개혁 운동 2. 범애주의란 말은 이 운동의 선구자인 바제도우(J.B. Basedow, 1724-1790)가 1774년 독일 데사우(Dessau)에 세운 범애학교(Philanthropinium)에서 유래되었다. 3. 특징 ⑴ 어린이들이 즐겁고 행복하게 배울 수 있는 교육방법을 중시한다. 그러므로 놀이, 여행, 견학 등을 통한 직접적인 경험, 실물과 그림에 의한 개념학습, 문법이 아닌 회화 위주의 언어교육 등을 강조한다. ⑵ 어린이들의 삶에 실제적인 도움이 되는 교육내용을 위주로 한다. 그러므로 신체단련, 모국어학습, 노작 등을 통한 기술 습득을 강조한다. ⑶ 종교의 종파나 경제적 능력에 관계없이 모든 어린이들이 학교에 다닐 수 있는 교육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교회가 아니라 국가가 학교를 관리할 것과 뜻있는 독지가들의 후원을 강조한다. ⑷ 어린이들에게 정열을 가지고 참고 인내할 줄 아는 교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교사는 특별한 능력이나 실력이 있는 사람보다 성실하고 열성을 다하는 사람을 중시한다. 4. 범애주의 운동은 근본적으로 루소의 《에밀》(Emile)에 나타난 자연주의적 교육사상과 18세기 독일에서 전개된 국민교육에 대한 이념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다. 5. 진보적 교육개혁운동인 범애주의는 그후 칸트(I. Kant, 1724-1804)와 페스탈로찌(J.H. Pestalozzi, 1746-1827)의 교육사상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6. 그러나 범애주의는 국가와 민족을 초월하여 인류 전체를 사랑하는 이른바 박애주의(博愛主義, philanthropism)와는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육운동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