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강화 代理强化 vicarious reinforcement
|
1.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그 행동의 결과를 알게 됨으로써 그와 같은 행동을 하게 될 확률이 증가되는 것 2. 관찰 학습 또는 대리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자극이 제공되는 강화라고 할 수도 있다. |
대리적 시행착오 代理的試行錯誤 vicarious trial-and-error ; VTE
|
1. 직접적인 행동 대신 정신적 예행(豫行)을 하는 것. 동물이 미로(迷路)에서 선택적인 행동을 해야만 되는 경우 「단행」하기에 앞서 주저하고 망설이고 비교하는 등의 모습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2. 톨맨(E.C. Tolman)의 기호학습설(記號學習設)의 한 증거로 제시된다.?기호학습설 |
대리적 학습 代理的學習 vicarious learning
|
1. 타인이 어떤 특정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자신이 직접 경험을 하지 않고도 똑같은 반응을 하는 것 2. 반두라(A. Bandura)에 의하면 인간은 자신의 반응 목록 속에 갖고 있지 않은 반응도 대리적 학습을 통해서 학습할 수 있다. 3. 인간은 다른 사람을 관찰하는 것 이외에도 책이나 영화?TV?라디오 등을 통해서 많은 대리적 학습을 한다. ? 대리적 학습은 사회학습 또는 관찰학습이라고도 한다. |
대중 大衆 mass
|
1. 매스컴의 청중과 같이 대중적 행동에 참여하는 많은 수의 사람들. 현대사회의 특징적 구성원으로서 대중사회라는 말을 성립시켰다. 그러나 사회조직은 가지지 않으며 비교적 획일적인 방식으로 공통된 문화자극에 반응한다. 2. 대중의 특성 ⑴ 그 구성원은 모든 사회계층을 망라하며, 지위?직업?문화배경?경제상태?생활양식 등이 서로 다른 사회성원들이 다양하게 포함된다. ⑵ 대중은 익명(匿名)의 개인들로 구성된 집단이다. ⑶ 대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 성원간에는 상호작용이나 경험의 교환이 거의 없으며, 물리적으로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⑷ 대중은 매우 엉성한 구성체로서 일치된 행동이나 통합이 이루어지기 힘들다. 3. 대중의 성격은 혁명군(革命軍)과 같이 어떤 통일성을 가지고 공통목표를 지향해 가는 행동적 군중(群衆, crowd)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대중사회 |
대중교육 大衆敎育 mass education
|
1. 모든 아동을 위해 공비(公費)로 지원된 교육, 또는 대규모의 집단이나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2. 산업혁명 이후 광범위한 양질(良質)의 노동력에 대한 필요에서 보편화되기 시작했다. 3. 대중 고등교육은 많은 학생 수를 수용하고, 자유로운 입학정책을 채택한 고등교육 제도를 가리키며, 그 특징으로는 독립된 단위 과정?단위 이수증(履修證)?학과 변경 및 학교 이동의 자유 등을 들 수 있다. 4. 이러한 교육형태는 일정한 자격을 구비한, 제약된 소수의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엘리트 교육과 대조가 된다. |
대중매체 大衆媒體 mass media
|
1. 청중의 정확한 특징을 고려하지 않은 채 시각 및 청각적인 메시지가 청중들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모든 비개인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다. 2. 대중매체에는 텔레비젼?라디오?영화?신문?잡지?서적 등이 포함된다. 3. 비개인적인 통신수단이므로 연극, 개인적인 회화, 공중연설 등은 제외되며, 대중매체는 매우 값싸게 누구에게나 전달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대중사회 大衆社會 mass society
|
1. 산업화 과정의 촉진, 민속사회(民俗社會)의 붕괴, 지역적 유대의식의 해이 등에서 연유된 거대한 현대의 정치적?사회적 단위 2. 사회적 특징 : 대중행동과 대중문화 3. 대중사회 : 흔히 매스 미디어로부터 개인에 미치는 일방적 교신(交信)?소외?고독?익명성(匿名性)?비인격적인 인간관계, 빈번한 이동?관료체제?획일적 가치?모방성 혹은 극단적인 세분화 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되는 경향이 많다. |
덕 德 virtue
|
1. 도덕성의 원리나 사회규범에 따른 삶과 행실.?실천적 태도와 올바른 행위의 습관 및 품성으로 표현된다. 2. 덕은 보편적 덕과 신학적 덕으로 나뉘는데, 전자의 예는 소크라테스(Socrates), 플라톤(Platon),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도덕설에서 볼 수 있는 지혜?용기?절제?정의(공정)의 4주덕이며, 후자의 예는 어거스틴(A. Augustine)?아퀴나스(T. Aquinas) 등이 보편적 덕인 4주덕에다 신학적 덕인 3주덕, 즉 신?망?애(信望愛)를 첨가한 7주덕이다. |
델파이 기법 ―技法 Delphi technique
|
1. 집단의 의견들을 조정?통합하거나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 2. 원래 미국의 랜드(Rand) 회사가 기술의 미래를 예측하기 위하여 썼던 바 이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 이제는 예측뿐 아니라 의견의 폭주 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등 여러 장면에서 쓰이고 있다. 3. 예컨대 형성적 평가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어 목표설정, 목표와 측정 가능한 목적의 연결 및 규준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의견이 다양한 장면에서는 욕구나 우선순위를 확인 또는 서열화하는 데 이 기법을 쓸 수 있다. 4. 수정형태가 있기는 하지만 이 기법은 근본적으로는 중요문제에 대하여 설문지를 우송하여 표본 개인들에게(대부분의 경우, 전문가) 일련의 집중적인 질문을 하는 것이다. 5. 매회 설문에 대한 반응을 수집?요약하며 그것을 다시 표본 개인들에게 정보송환해 주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개인들은 자신의 견해나 평정을 수정해 간다. 개인들은 면대면(面對面)으로 만나지 않기에 익명(匿名)을 보장받을 수 있어 쉽게 반성적 사고를 하게 되며 새로운 의견이나 사상에 대하여 솔직해질 수 있다. 그리하여 처음의 입장이 어떠했건, 얼마나 복잡했건 간에 대립적인 의견도 폭주하며 종합된다. 6. 위원회 방법을 향상시켜 해결자?결정자의 노릇을 하는 기법이다. 7. 단점 : 의견의 합치는 초보적인 것일 뿐 반드시 최상의 것은 아니며 또한 도표작성 등에 힘도 적지 않게 든다. |
도구적 이성 道具的理性 instrumental reason
|
1. 지배와 억압을 정당화하거나 거기에 봉사하는 능력으로 규정된 이성 2. 베버(M. Weber), 마르크스주의자, 그리고 일부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자들은 서양의 근대적 정신을 대표하는 계몽사상적 이성의 개념은 자본주의적 산업사회와 획일주의적 사고에 봉사하는 특별한 도구로 왜소화 되었다고 비판하고 있다. 3. 근대의 과학, 특히 실증주의적 전통에서 규정한 과학적 합리성 혹은 이성은 데카르트(R. Descartes), 칸트(I. Kant), 그리고 헤겔(G.W.F. Hegel) 등으로 이어지는 서구사상의 중심적 주제의 하나로서 멀리 플라톤까지 소급될 수 있는 것이며, 인간을 미신과 무지와 고통의 굴레로부터 구원할 수 있다고 믿어졌다. 4. 그러나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독단주의에 대결하는 이성의 진보적 개념을 마르크스(K. Marx)의 작품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하버마스(J. Habermas)는 계몽사상적 이성은 특히 19세기의 후반에 과학을 산업사회의 생산력 혹은 생산수단으로 환원시키는 과정에서 실증주의, 역사주의, 실용주의 등에 의해서 합리성의 포괄적 의미와 복합적인 삶의 상황에 대한 엄격한 논의 없이 도그마로 경직되어 버렸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소망의 자발성, 주체성의 정립, 고통과 억압에의 대응, 자율성의 욕구, 해방의 의지 등은 이성의 불가결한 관심의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이성 혹은 합리성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제외되어 왔다는 것이다. 5. 마르크스는 이성을 비판과 해방의 이름으로 사용하고 변증법적 부정의 힘으로 인식하였으나, 노동과 교환의 합리성에만 관련시켜 생각하였다. 6. 이에 비하여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이론가들은 이성에는 비판의 요소도 있지만 재구성의 힘도 있다고 하면서 일상적 삶의 전체적 국면에 침투시켜 생각하고자 하였다. |
도급경비 제도 都給經費制度
|
1. 예산의 지출과 사용에 대한 일률적인 엄격한 통제?관리로 인하여 발생하는 업무추진상의 불편과 비능률성을 방지할 목적으로 예산회계법이나 지방재정법에 특례규정을 만들어 예산규모가 적거나 특수한 기관의 사무비에 대하여 지출상의 번잡성과 까다로운 절차를 피하고 기관의 예산 집행자에게 직접 예산을 교부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제도 2. 일반적으로 도급제도라고 하면 어떤 일을 완성하는데 필요한 경비를 위임하고 경비의 과부족에 무관하게 일을 완성하도록 책임을 부여하는 것이다. 3. 특징 : 예산을 교부받은 책임자의 능력과 양식을 믿고 예산사용과 과업완성에 대한 일체의 의무와 책임을 위임한다는 것이다. 4. 이 제도는 읍?면?동?이 기타 3인 이하의 총소(廳所)에서 주로 활용되어 왔는데 1974년에 지방재정법 시행령을 제정하여 1975년부터 24학급 미만의 소규모 국민학교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국민학교에서 도급경비로 지급될 수 있는 항목은, 여비?수송비?수수료?수선비?행사비?판공비?회의비?공공요금?의료비?일숙직수당?일용잡급비?연구학교비 등이다. 5. 이러한 제도를 채택함으로써 교사들의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고, 학교실정을 고려한 경비지출로 경비활용 효과를 높이며, 학교장 중심의 효율적인 행정을 기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
도덕 道德 morals
|
1. 사회를 이루어 살고 있는 인간이 그들의 자연적?사회적?인간적 요구와 욕망을 조화롭게 충족시키기 위하여 지켜야 하는 행위의 규범(規範) 2. 이 규범에 의해서 행위의 선?악?정?사(善惡正邪)가 판단된다. 3. 도덕은 관습(慣習)?풍속(風俗)?법률(法律)과 함께 인간의 행위를 통제한다. ⑴ 풍속과 법률이 인간의 행위를 밖으로부터 통제하는 데 비하여, 관습과 도덕은 인간의 행위를 안으로부터 통제한다. ⑵ 관습과 도덕의 차이 : 통제의 범위 - 관습은 사회에 따라 특수하게 굳어진 행동 및 사고방식의 총체를 뜻하지만, 도덕은 그 중에서도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관한 부분만을 뜻한다. 4. 도덕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떠나서는 존재 할 수 없는 것이다. |
도덕교육 道德敎育 moral education
|
1. 도덕성을 기르고 정서를 순화시킴으로써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건전한 인격을 갖추게 하는 교육 2. 도덕교육의 내용 ⑴ 도덕규범의 준수를 습관화시키는 일 ⑵ 규범들 간의 갈등(葛藤)을 해소하고 새 규범을 만들어 내는 능력을 기르는 일 ⑶ 생활의 질을 스스로 드높이려는 의욕을 기르는 일 등 3.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것은 곧 규범을 준수하는 것이므로, 생활에 대한 적응력을 기르고 인격을 드높이기 위한 교육적 노력은 모두 넓은 의미의 도덕교육이며, 생활지도는 특히 그 중요한 일부분이다. 4. 도덕성은 규범의 수용(受容)에서 비롯되지만, 적극적인 비판과 평가를 통해서 더욱 성숙되는 것이므로, 규범의 성격과 도덕의 본질을 체계적으로 이해시키고 그 준수의욕을 드높이기 위한 별도의 교과(敎科)를 두기도 한다. 5. 좁은 의미의 도덕교육 : 이 교과를 가르치는 일, 즉 도덕과교육(道德科敎育)을 뜻한다. |
도덕성 道德性 [영]morality [독]Sittlichkeit [프]moralite
|
1. 도덕현상을 인식하고 도덕규범을 준수하려는, 즉 자신 및 타인의 행위에 대하여 선?악?정?사를 구별하고, 선행(善行)과 정의(正義)를 실천하려는 심성(心性) ⑴ 지적 측면(판단 능력)과 정의적 측면(좋아하고 싫어하는 감정 및 실천 의지) ⑵ 인간의 다른 심적 특성(心的特性)과 마찬가지로 도덕성도 성장?발달하는데, 대개 타율적(他律的)인 데서 자율적(自律的)인 방향으로 발달한다. ⑶ 도덕성의 형성?발달에 관한 심리학적 설명에는 행동주의 이론, 정신분석학 이론, 인지발달 이론 등이 있다. ⑷ 도덕의식(道德意識) 또는 양심(良心)이라고도 부른다. 2. 도덕적 특질(moral quality)을 뜻하는 철학적 용어?칸트(I. Kant)는 인간행위를 구분하는 범주를 도덕성과 적법성(適法性)으로 나누어 쓴다. ⑴ 적법성 : 행위의 결과가 도덕규범에 합치되는 경우 ⑵ 도덕성 : 행위의 동기 자체가 도덕규범을 준수하려는 자율적 의지에 입각해서 이루어진 경우 |
도덕성 발달 道德性發達 moral development
|
1. 사회적 행동규범에 대한 개인 의식의 내면화과정 2. 아론프리드(J. Aronfreed)는 도덕성을 양심의 인지적 측면이라고 보았다. 3. 피아제(J. Piaget)는 아동의 도덕성 발달이 2단계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⑴ 타율적 단계(heteronomy)에서 아동은 규칙을 권위에 의해서 부과된 절대적인 것으로 인식하며 행위자의 의도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⑵ 7~8세 이후에는 규칙의 타당성을 집단성원간의 호혜(互惠)와 합의에서 찾는 자율적 단계(autonomy)로 이행하게 된다. 4. 정신분석 이론에서는 도덕성의 내면화 기제(機制)로서 부모와 자녀간의 상호작용이 강조되고 있다. 5. 근래에는 콜버그(L. 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설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