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자율성 道德的自律性 moral autonomy
|
1. 자신의 생활을 영위함에 있어서나 타인의 행위를 평가함에 있어서, 외부의 권위(權威)나 명령에 의존하지 않고 자기 스스로 획득한 원리를 따르는 도덕적 능률 또는 성향(性向) 2. 타율적(他律的) 도덕성의 반대 개념 3. 도덕적 자율성의 형성과정 : 인간은 처음에는 사회에 이미 존재하는 규범들을 습득함으로써 도덕성을 형성하지만, 그 규범들이 서로 충돌하거나 또는 행위의 지침이 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하면 기존 규범들을 변용(變容)하거나 새 규범을 창출(創出)하게 된다. 4. 도덕적 자율성을 가진 인간의 특징(J. Piaget) ⑴ 규범을 상대적인 것으로 파악한다. ⑵ 규범을 자발적으로 준수한다. ⑶ 행위 결과보다는 의도에 의해 책임을 묻는다. ⑷ 벌을 규범 위반에 대한 보상으로 간주한다. ⑸ 타인의 행동 평가시에 정상을 참작한다. |
도식 圖式 schema
|
1. 인지구조(認知構造)의 한 단위를 기술하기 위하여 피아제(J. Piaget)가 사용한 용어 2. 행동주의학파(行動主義學派)에서 말하는 소위 「습관」(habit)에 해당되는 말 3. 도식은 어떤 방법으로든 환경을 조작함으로써 이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는 데에 관련되는 지식과 기술들을 포함한다. ⑴ 감각운동도식 또는 행동적도식 등은 사물을 신체적으로 조작하는 것과 관련되며 언어적 도식은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과 관계된다. ⑵ 인지적 도식은 과거의 경험들과 연관된 사상(寫像) 및 기억력뿐만 아니라 사고와 문제해결의 목적으로 이러한 경험들을 조작하는 데에 관련되는 논리적 및 기타 인지적 능력들을 포함시키고 있다. |
도제 徒弟 apprentice
|
1. 장인(匠人, master)을 지망하여 훈련을 받고 있는 사람 2. 도제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장인과 수업계약을 맺고 수업료를 지불하고 장인의 집에서 기거하며 일도 하면서 기술 습득을 한다. 3. 도제는 장인으로부터 일상의 옷과 음식은 물론 약간의 용돈도 받고 기술지도도 받으면서 생활을 지도 감독받는 역할을 한다. |
도제교육 徒弟敎育 apprenticeship
|
1. 13세기 이후 산업혁명기까지의 가내수공업 사회에서 실시된 직업교육 제도 2. 10세가 지난 어린 때부터 상업?공업?기술 등의 분야에서 뛰어난 장인(匠人, master)의 개인 집에 다니면서 도제가 되어 봉사하면서 학습하기 시작한다. 3. 교육내용은 직업관계는 물론 인격교육에까지 미친다. 4. 매우 엄격한 압제적인 훈련을 비교적 장기간(5~7년)에 걸쳐 이수한 뒤 다시 일정한 작품제작에 합격해야 비로소 장인이 된다. |
도착점 행동 到着點行動 terminal behavior
|
1. 한 수업단위가 끝날 때에 학습자가 성취해야 한다고 기대되는 행동 2. 수업목표는 가능한 한 관찰할 수 있는 구체적 행동용어로 진술될 것이 권장되며, 이 같은 행동목표를 향하여 수업은 전개된다. 3. 수업이 시작되는 시발점에 있는 학생의 기능과 기타 행동 특성을 출발점 행동이라 부른다면 수업목표는 도착점 행동 또는 종착점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4. 이런 의미에서 무릇 수업목표는 바로 도착점 행동이라 할 수 있다. |
독단 獨斷 dogma
|
1. 논리(論理)를 초월한 권위에 의한 주장 2.「생각된다」 또는 「결정한다」 등을 뜻하는 그리스 도케오(dokeo)로부터 나온 말로서, 최초엔 어떤 주권자나 집단에 의한 정치적인 결정이라는 의미였으며 여기에서부터 종교상?철학상의 용법이 파생되었다. 3. 종교에서는 가톨릭 교회에 의해서 제정되고 교황의 선언에 의해 권위를 얻은, 이성의 비판을 허용치 않는 교리?교조를 뜻하고, 철학에서는 어떤 철학자 또는 학파에 의해서 주장되는 학설이나 그 근간을 이루는 명제를 뜻하며 정설(定說)이라고도 번역한다. 4. 지배적인 이데올로기의 권위에 의해 무비판적?맹목적으로 신앙되는 명제나, 타당한 근거에 의해서 논증된 것이 아닌 주장은 독단이다. 5. 그 자체가 비록 옳은 명제일지라도 구체적 조건의 변화를 생각지 않고 주장되면 일단 독단으로 간주된다. |
독립변인 獨立變因 independent variable
|
1. 다른 변인에게 작용하거나 다른 변인을 예언하거나 설명해 주는 변인 2. 실험연구의 경우는 독립변인은 실험자에 의하여 임의로 통제되고 조작된다. ⑴ 실험변인(experimental variable) 또는 처치변인(處置變因, treatment variable)이라고도 한다. ⑵ 예 : 시청각 교재의 사용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 싶을 때 시청각교재는 독립변인이며, 이것은 실험자에 의하여 임의로 조작되고 통제된다. 3. 자연적인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다른 변인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독립변인이라고 한다. 4. 예 : 생물의 생활에 영향을 주는 계절의 변화, 성적(成績)에 영향을 주는 지능 등이 독립변인이다. |
독서삼품과 讀書三品科
|
1. 우리 나라 최초의 유교지식에 의한 관리선발제도. 원성왕 4(788)년에 처음 실시되었다는 기록만 있을 뿐, 이후 어느 정도나 실시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2. 관리선발기준은 인재를 기르는 국학의 교육과정과 연결되어 있었다. 3. 구분 등급 ⑴ 상(上) : 춘추좌전?예기?문선을 읽어 능히 그 뜻을 통하고 겸하여 논어?효경에 밝은 자 ⑵ 중(中) : 곡례(曲禮)?논어?효경에 밝은 자 ⑶ 하(下) : 곡례?효경을 읽은 자 ⑷ 특별선발 : 오경(五經)?삼사(三史)?제자백가서(諸子百家書)를 겸하여 그 뜻을 통한 자 ⑸ 벼슬 : 나마, 대나마 수여 4. 의의 ⑴ 관리선발방법은 삼국통일 이전에 활 쏘는 능력에 따라 선발하는 궁전법(弓箭法)이나 인물평가에 의한 미인법(美人法)과 달리 서적에 대한 지식의 정도를 가지고 능력을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관리 선발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났음을 의미한다. ⑵ 독서삼품과는 전통적인 화랑제나 이에 따른 추천방식의 관리 선발에서 유교적 교육기관인 국학과 연결된 새로운 관리선발방식이었다. . ⑶ 이러한 변화는 삼국 통일기에 무(武)에 대한 능력이 중요한 선발기준이었던 데에 반하여, 삼국통일 이후에는 경학과 실제적 행정능력을 갖춘 새로운 모습의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5. 한계 : 여기에는 중국의 국자감 및 과거제의 영향이 일정하게 작용하였겠지만, 신라의 독특한 상황 때문에 그대로 시행되지는 못하였고, 아직 골품제의 제한은 강하게 남아 있었다. 그리고 보다 완전한 의미에서 유교적인 소양을 기준으로 관리를 임용하는 제도는 고려 광종 9(958)년에 과거제를 실시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
동간척도 同間尺度 interval scale
|
1. 인접한 단위는 항시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두 점수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말할 수 있는 척도. 2. 예 : 국어시험에서 10점, 20점, 30점 같은 것이나, 화씨온도 5℃ 또는 10℃와 같은 측정치를 말한다. 3. 특징 : ⑴ 명명척도(命名尺度)나 서열척도(序列尺度)와는 달리 분류나 순위의 성질을 가질 뿐만 아니라 동간성을 갖기 때문에 10℃-5℃=15℃-10℃ 또는 10점+20점=30점과 같은 가감을 의미 있게 할 수 있다. ⑵ 5℃가 10℃보다 두 배 더 춥다거나 30점 받은 학생은 10점 받은 학생보다 3배 더 잘 한다고는 말할 수 없다. 이는 동간척도는 절대영점에서 출발하지 않기 때문인데 승제(乘除)는 비율척도에서만 가능하다. 4. 심리학이나 교육학에서 얻는 척도는 동간척도가 최상일 때가 많다. 그래서 서열척도를 동간척도로 변환시키기 위한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
동경험 다목표의 원칙 同經驗多目標―原則
|
1.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의 학습경험 선정의 원칙의 하나. 동목적 다경험의 원칙과 대조된다. 2. 의미 : 하나의 학습경험은 하나의 학습목표만을 달성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학습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원칙이다. 3. 예 : 농구를 학습시키면 농구에 관한 기능, 민첩한 태도, 협동심, 강인한 의지력, 신체단련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4. 따라서 학습 경험 선정에 있어서는 그 경험이 어떤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는지를 생각해야 한다. 5. 주의점 : 교육목적의 역기능이 작용함으로써 교육목적 달성에 지장을 초래함도 아울러 생각해야 한다. 예를 들면 농구를 싫어하게 된다든지, 적의를 품게 된다든지, 친구를 미워한다든지와 같은 경험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 |
동기-위생이론 動機-衛生理論 motivator hygiene theory
|
1. 인간에게는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려는 동물과 같은 욕구와 심리적으로 성장하려는 욕구 등 두 종류의 이질적(異質的)욕구가 있으며 이들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에도 차이가 있다는 이론 2. 허즈버그(Herzberg)의 주장 ⑴ 위생요인(유지요인?안정지향적 요인) ① 인간의 작업만족을 합리적 수준으로 유지케 하는 데 필요한 요인 ② 위행요인이 충족되면 인간의 만족이 강하게 충동되지는 않지만, 이 요인들이 충족되지 않으면 불만족으로 이끄는 잠재력이 강한 요인이 된다. ③ 하위개념 : 조직의 정책결정 및 행정, 기술적 감독, 상사 및 부하 동료들과의 인간관계, 보수(報酬)?직업안정성?사생활?근무조건?지위 등 ⑵ 동기요인(성취지향적 요인) ① 하위요인 : 성취감?인식감?발전의욕?작업 그 자체?성장가능성?책임감 등 ② 하위요인들이 충족되면 보다 높은 수준의 동기와 만족을 형성해 주게 되며 만약 이러한 요인들이 충족되지 않는다고 해서 불만족으로 유도되지는 않는다. 3. 의의 : 조직 내의 모든 성취동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만병통치약이라기보다는 작업현장에서의 인간의 동기유발에 대한 접근을 개발하려는 첫 시도이다. |
동기유발 교수설계 動機誘發敎授設計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
1. 학습동기를 유발시키고 유지시키기 위하여 주의,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등의 네 가지 요소들을 중심으로 교수처방 방안을 설명하고 있는 켈러(Keller, J.M.)의 ARCS 이론 2. ARCS : 주의(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그리고 만족감(satisfaction) 3. 내용 : ARCS 이론은 다양한 교수자료의 동기적 측면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 방법으로 제시된 것이다. 특히 이 이론은 교수-학습 상황에서 동기를 유발시키고 유지시키기 위한 구체적이고 처방적인 방략들을 제시하고 있고 또한 교수설계 모델들과 병행하여 활용될 수 있는 동기설계의 체계적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4. 주의 ⑴ 이것은 학습자의 관심을 학습자극에 집중시키는 것으로서 특히 지적인 호기심의 유발에 관심 ⑵ ‘주의’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지각적 주의 환기, 탐구적 주의환기, 그리고 다양성(예, 교수사태 전개순서의 다양화나 정보조직방식의 다양화를 의미함) 방략을 적용 5. “관련성” ⑴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나 개인적 필요를 지각시키는 것 ⑵ 친밀성 방략, 목적지향성 방략, 그리고 필요나 동기와의 부합성 방략 등 6. “자신감” ⑴ 성공의 기회가 있다는 것을 인식시키는 것 ⑵ 학습의 필요조건의 제시방략, 성공의 기회를 제시하는 방략, 개인적 통제력 증대의 방략 등 7. “만족감” ⑴ 학습자의 노력의 결과와 성취기대가 일치하게 되면 학습동기가 유지되는 것 ⑵ 자연적 결과 강조의 방략, 긍정적 결과 강조의 방략, 공정성 강조의 방략 등 8. 동기유발 교수설계의 체제적 과정 : 정의, 개발, 평가 ⑴ 정의 단계 : 문제분석, 학습자 분석, 목표설정 ⑵ 개발 단계 : 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한 구체적 자료를 개발 ⑶ 평가 단계 : 동기방략을 도입한 교수자료의 효과성을 검토 |
동기형성 動機形成 motivation
|
1. 일정한 동기가 발생?발동하는 상태 2. 동기유발(motive)은 여러 욕구(need)에 의하여 촉진되고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목표지향적 행동을 일으킨다. 3. 행동의 방향성과 강도 결정 : 행동촉진적 기능과 선택적 기능을 발휘한다. 4. 학습행동은 동기유발에서 시작되며 학습을 촉진하는 동기는 성취동기(成就動機)의 일종이다. 5. 학습동기를 유발하며 유지하는 일은 교사의 매우 중요한 전문적인 기술에 속한다. |
동료평정방법 同僚評定方法 peer appraisal method
|
1. 주어진 한 특성에 대해 동료간에 상호 평정하게 하는 방법 2. 동료에 의한 평정의 중요성 ⑴ 학생 행동에 관한 교사의 관찰결과는 상당히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다. ⑵ 예 : 한 학생은 교사 앞에서와 다른 친구들만이 있을 때와의 행동이 전혀 다를 수 있다. ⑶ 따라서 동료간의 평정은 한 학생의 사회적 적응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보조자료가 된다. ⑷ 특히 학생들의 인기?통솔력?집단의 권력구조 및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의 정도를 측정하고자 할 때는 교사에 의한 평정보다는 동료에 의한 평정이 보다 타당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 3. 유의점 ⑴ 평정하고자 하는 특성을 학생이 그들의 경험을 통하여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⑵ 각 학생에 대한 결과가 알려지지 않도록 보안 조치를 하고 평정자를 무기명으로 하도록 한다. |
동목표 다경험의 원칙 同目標多經驗―原則
|
1.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의 경험의 선정 원칙의 하나 2. 의미 : 하나의 목표에 응할 수 있는 학습경험의 범위는 넓고 깊기 때문에 지역사회, 학교의 특성 및 학생의 필요에 따라 교사의 창의적인 선택이 가능하다는 원칙이다. 3. 예 : 비판정신을 기르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제공되어야 할 경험은 허다하다. 이들 경험 중 지역사회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학생들의 필요나 흥미에 알맞은 경험을 교사가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하면 된다. 4.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노력도 지역이나, 학교나, 교사에 따라서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동경험 다목표의 원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