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구방법 參與硏究方法 participation research methods
|
1. 연구문제의 제기로부터 연구결과의 활용에 이르기까지 연구의 전 과정에 있어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연구대상이 되는 일정한 지역이나 집단 공동체가 민주적으로 공동 참여하여 모든 사회교육적 방법을 활용하여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실천 연구의 한 방법 ⑴ 질적 연구(質的硏究)의 중시 ⑵ 소외집단 및 불우집단을 위한 실천적 행동으로서의 연구 ⑶ 연구대상의 연구에의 참여를 특징으로 한다. 참여연구의 기원은 미개지역이나 하류계층 주민들에 대한 인류학자들의 개발 실천의지로부터 찾아 볼 수 있다. 스웨덴의 인류학자인 스완츠(M. L. Swantz)가 탄자니아에서 실시했던 한 사례실천 연구를 토대로 하여 브라질의 프레이리(P. Freire)가 이를 실제 사회교육의 실천에 적용하여 발전시킬 것을 강조하였으며 이를 다시 국제성인교육협회(ICAE)에서 공식적인 사회교육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여 하나의 사업으로 전세계에 보급하면서 발전된 연구방법이다. 2. 참여연구는 크게 여덟 가지의 수행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⑴ 문제의 추출 ⑵ 연구자의 연구대상(주민 및 집단)들과의 합의 ⑶ 연구 업무 분담을 위한 소집단의 구성 ⑷ 연구계획의 수립 ⑸ 자료의 수집 및 분석 ⑹ 문제해결을 위한 협의 및 실천 계획의 작성 ⑺ 실천 계획의 수행 ⑻ 연구결과의 학문적 정리와 시사 도출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참여연구의 수행에는 집단협의나 공동회합, 분과위원회의 조직, 지역사회 세미나, 의견조사, 견학, 교재의 공동제작, 대중연극 등의 다양한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3. 연구법의 특성 및 장점 ⑴ 연구자체가 단순한 이론의 정립이나 개발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효과적인 실천적 사회개발의 접근방법이 되며 또한 어느 정도 연구자의 편견을 극복하고 객관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 ⑵ 지금까지 다른 연구방법으로 밝혀내기 어려웠던 결손집단 및 소외집단들의 사회문제를 규명하고 이를 위한 근본적 해결책을 강구할 수 있다는 점 |
참여적 관찰 參與的觀察 participant observation
|
1. 관찰자가 관찰대상의 내부에 들어가서 그 구성원의 일원이 되어 공동생활에 참여하면서 관찰대상을 자연 그대로 관찰하는 방법 2. 여기서 자연 그대로 관찰한다는 것은 관찰자의 영향을 받음이 없이 관찰자가 없을 때 나타나는 피관찰자의 행태(行態)를 관찰함을 말한다. 3. 예를 들면 거지의 행태를 연구하기 위하여서는 연구자가 거지가 되어 그들과 같이 생활을 하면서 관찰을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4. 이 방법은 특히 인류학자들 간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미개지역의 원주민에 관한 연구에 많은 업적을 보이고 있다. |
참여적 장학 參與的?學 participatory supervision
|
1. 교수-학습지도를 포함한 모든 교육활동에 여러 관계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개선하고, 장학지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현대적 장학개념의 일종 2. 민주적 장학의 원리 아래, 교육행정가?장학사?교장?교사 기타 교육관계자뿐만 아니라 학부모?사회인 등에게도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장학지도의 효과를 높이려는 것이다. |
창의성 創意性 creativity
|
1. 새로운 관계를 지각하거나, 비범한 아이디어를 산출하거나 또는 전통적 사고유형에서 벗어나 새로운 유형으로 사고(思考)하는 능력 2. 토랜스(E. P. Torrance)는 창의성의 과정을 ⑴ 어떤 문제?결핍?격차 등에 민감한 것 ⑵ 문제나 곤란을 추측하고 형성하는 것, 그리고 가설을 검증하고 재검증하는 것 ⑶ 결과를 전달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3. 이것은 여러 가지 검사들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으며, 교육과 정신건강의 목표로서 중시되고 있다. 4. 따라서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연구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 확산적 사고 |
창의성 검사 創意性檢査 creativity tests
|
1.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작품을 만들어 내는 지적(知的) 능력과 그와 관계되는 성격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2. 창의성 검사에는 길포드(Guilford)가 제시한 지능구조의 모형에서 확산적 사고를 재기 위하여 알렌(Allen)이 만든 에이 알 피(A.R.P.), 토랜스(Torrance)와 바론(Barron)이 창의적 성격을 재기 위하여 만든 것이 있다. 3. 길포드와 토랜스의 창의성 검사는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번역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창의성 발달 創意性發達 creativity development
|
1.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새로운 형식이나 의미를 지니고 이해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자료?사실?관계를 창안해 내는 능력의 발달 2. 이는 유전적 영향을 받기는 하나 교육에 의해서 개발이 가능한 측면이 많기 때문에 창의성의 습득과정에 작용하는 변인에 관한 연구와 이의 개발을 위한 교육적 원리, 교육의 과정, 실제적 프로그램 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3. 창의성의 교육 프로그램은 개인별로만 아니라 집단적으로도 실시될 수 있기 때문에 이의 교육은 학교와 산업체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
창의적 사고 수업모형 創意的思考授業模型 creative thinking model
|
1. 학생들이 사물, 사상, 개념, 감정을 다루는 데 있어서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을 높여주기 위한 교수방안 2. 이 모형은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창의력을 길러가는 방법을 배워야만 한다는 가정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러므로 학급 분위기는 다양한 반응이 존중되고 보상받는 분위기이어야 한다. 3. 창의적인 기법을 배운 학생들은 이를 활용하여 주어진 교과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다. 4. 창의적 사고 수업의 기법은 무수히 많겠지만 그 중에서 여섯 가지만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⑴ 눈에 띄지 않는 특성 대상 및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⑵ 문제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정을 다시 생각해 본다. ⑶ 아이디어 계통도를 만들어 본다. ⑷ 기존의 방식에서 어느 부분을 빼거나 뒤바꾸어 봄으로써 새로운 사고를 탐색한다. ⑸ 이상한 것을 친밀한 것으로 유추한다. ⑹ 친밀한 것을 이상한 것으로 유추한다. 5. 교사가 이 모형을 성공적으로 활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을 할 수 있어야만 한다. ⑴ 직접 활용할 수 있거나 독창적이거나 또는 새로운 아이디어는 모두 수용되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⑵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설명이나 신념의 부적절성 그리고 괴리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⑶ 환경에 보다 개방적이고 민감하도록 돕는다. ⑷ 학생의 창의와 독창적 사고를 방해하는 형식적이며 시험적인 분위기를 확인해 둔다. ⑸ 분명한 사고를 실천할 수 있는 자극을 제시한다. 6. 이러한 수업모형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것을 배우게 된다. ⑴ 창의적 사고에 요구되는 태도를 기른다. ⑵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기 위하여 문제를 재설정하는 기법을 사용한다. ⑶ 아이디어들의 차이를 이해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한다. ⑷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해 내기 위하여 비유방법을 활용한다. 7. 이 수업모형은 과학과, 사회과, 언어학습에 가장 적합하며 특히 초등학교 3학년에서부터 중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이 수업모형에서는 창의적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특수한 자료나 상황이 있어야만 한다. 9. 이들 자료나 상황은 다양한 반응을 가져오게 할 이상함, 난처함, 괴리, 신비함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어야만 한다. 10. 이 수업모형의 적용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다양한 반응의 가치를 찾고, 단일의 정답이 있다는 생각을 버리고, 학생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생각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시간을 주는 것이다. |
채점자의 신뢰도 採點者―信賴度 scorer reliability
|
1. 논문형 학력검사나 투사적 검사에 있어서 채점자간의 일치도 또는 평정척도에 있어서 평정자간의 일치도의 정도 2. 일련의 논문형 검사에서 두 채점자간의 신뢰도는 두 채점자가 동일한 검사에 배당한 두 점수간의 상관관계로써 추정할 수 있다. 3. 두 채점자간의 점수간의 상관을 구한 다음 이를 스피어만-브라운 예언공식에 의해서 그대로 검사의 길이가 증가된 경우, 즉 k=2인 경우에 기대되는 신뢰도 계수를 추정하면 될 것이다. 4. 또한 두 명 이상 여러 명의 채점결과의 평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채점자의 수를 K라고 하면 검사의 길이를 K배로 늘렸을 때 기대되는 신뢰도 계수를 스피어만-브라운 예언공식에 의해서 구하면 된다. 5. 그러나 여러 채점자 중 어느 한 점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채점자간의 신뢰도를 구하는 방법은 유목 내 동질성 상관계수 ρ(populatio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적용해야 한다. |
처방적 교수이론 處方的敎授理論 prescriptive instructional theory
|
1. 서술적 교수이론(敍述的敎授理論)과 대가 되는 말 2. 특정 교수의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특정 교수의 조건하에서 어떠한 교수의 방법을 동원하여야 하는가에 관심을 갖는 교수이론 3. 예를 들어, 교수설계자에게는 바람직한 교수의 결과와 조건이 독립변인이며 상호작용하는 매개변수들은 좋은 교수의 방법이라는 종속변인을 처방해주는 데 사용되는데 이러한 형식의 이론이 처방적 이론이다. 4. 처방적 이론들은 "B라는 조건하에서 C라는 결과를 얻으려면 A라는 교수방식을 사용해야 한다"라는 형식의 명제를 구성한다. 5. 교수설계이론과 같은 처방적 이론들은 서술적 지식을 이용하여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며 교수의 방법을 처방하고자 한다. ? 서술적 교수이론 |
처방적 이론 處方的理論 prescriptive theory
|
1. 실천행위를 정당화시키는 원칙들의 체제로 구성되는 이론. 이론이라는 용어는 통념적인 수준에서 널리 쓰이고 있지만 논자에 따라 그 개념규정이 다르다. 2. 자연과학의 영역에서는 대개 이 용어가 사실에 대한 일단의 체계적인 지식을 지칭하는 것으로 쓰인다. 3. 따라서 이와 같은 부류의 이론은 그것이 현실과 어느 정도 상응(相應)하느냐에 주된 관심을 갖는다. 4. 처방적 이론은 과학적 이론과는 달리 경험적 연구로써만 그것의 타당성을 인정받을 수는 없다. 5. 이른바 교육이론은 이 처방적 이론에 속하는 것이 많은데, 이 경우에는 그것이 함축하거나 전제하고 있는 가치체제가 무엇인지를 분석해 내야 한다. |
청소년 교육 靑少年敎育 adolescent education
|
1. 소년기와 청년기의 연령층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2. 청소년기로부터 사회경제적으로 독립하여 한 가정을 부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성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때까지 계속되는 교육을 말한다. 3.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의 형태에는 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 등이 있으나 이 세 가지 교육의 형태가 각각 청소년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세 형태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4. 그러나 청소년 교육은 일반적으로 사회교육이 행하는 교육활동의 일부라는 좁은 뜻으로 해석되고 있다. 5. 청소년의 연령구분에 대해서는 아직 공통적인 견해는 없으나 부모의 보호를 필요로 하는 유아기가 끝나는 시점으로부터 하나의 사회구성원으로서 권리와 책임을 인정받을 수 있는 성인기에 도달할 때까지를 가리킨다. 6. 그 가운데 소년기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재학 연령에 해당하는 소년?소녀의 상위개념으로 이해되고 있으나 남녀간에는 성차가 있어 남자는 14세경, 여자는 12세경 까지를 소년기로 보기도 한다. 7. 청년기의 상한연령은 대체로 25-26세까지로 보고 있으나 개인적으로는 30세까지 연장되는 사람도 있어 연령구분을 분명히 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청년기는 에릭슨(Erickson)의 주장과 같이 지적?육체적?성적인 기능은 성숙했으면서도 의무와 책임을 수행할 수 있는 사회인으로서는 미숙한 심리?사회적 역할유예(psycho-social moratorium)현상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연령구분을 어렵게 하는 이유이다. 8. 청년기의 특징은 다른 연령단계와는 달리 어린이도 아니고 그렇다고 성인도 아닌 중간적인 단계, 즉 어린이 세계와 어른의 세계의 경계에 위치한 경계인(marginal man)의 성격이 강하다. 9. 그러므로 청년기의 최대의 발달과제는 에릭슨의 말과 같이 아이덴티티(identity)를 확립하는 길이다. |
청소년 비행 靑少年非行 juvenile delinquency
|
1. 미성년인 청소년이 반사회적 행위를 하거나 사회규범에 어긋나는 행위를 하는 것 2. 엄밀한 의미에서 비행은 법규에 어긋나는 행위를 가리키나, 청소년 비행은 성인인 경우에는 하등의 법적 저촉이 되지 않는 행위(예를 들면, 음주?흡연?극장 출입 등)도 포함된다. 3. 보통 집단화된 것과 단독적인 것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집단화된 비행(the socialized delinquency)?신경증적 비행(the neurotic delinquency)?정신병적 비행(the psychotic delinquency)?상황적 비행(the situational delinquency) 등으로 나누고 있다. 4. 비행의 원인 : 유전의 이상이나 생리적 충동, 신체적 장애나 이상, 심리적 좌절, 학교나 가정에서의 갈등, 문화적 갈등이나 환경적 결손, 개인의 성장과정에서 축적된 심리적 문제 등에서 찾을 수 있다. 5. 지도를 위해서는 청소년의 상담과 심리치료 이외에도 가족치료, 법적 제도에 의한 교정(矯正)과 교화(敎化), 집단적 교육시설과 운영 등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6. 외국에서는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예방과 정신건강의 증진을 강조하며, 사회적 적응의 기능을 육성하는 것을 강조하는 경향이 점차로 두드러지고 있다. |
체계적 표집 體系的標集 systematic sampling
|
1. 확률적?객관적 표집방법의 하나로서, 전집의 모든 사례를 어떤 순서로 나열하였을 때 필요한 표집수를 일정 한 K번째의 사례만을 표집하여 얻는 방법 2. 예를 들어 어떤 잡지회사가 구독자의 의견을 조사하는 경우에 총 5,000명 중 1,000명을 표집하고자 한다면 총 5,000명에 대해서 우선 일련번호를 배당한다면 처음 50번 내에서 난수표 등에 의해서 무선적으로 한 사례를 뽑고 그 다음부터 50번째 사례를 계속 표집해 나가는 방법이다. 3. 이 방법은 무선표집보다 표집오차가 더 적게 되고, 또한 능률적인 표집방법이라 할 수 있다. 4. 그러나 때로는 의식하지 못한 편파적 요인이 체계적으로 개입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5. 예를 들어 한 반에서 매 5번째 학생을 표집한다고 하는 경우에 맨 앞에 앉은 학생만을 표집하게 된다든가, 또는 주어진 거리에서 5번째 집을 표집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우연히 모퉁이 집단만 대상이 되어 주어진 조사에 어떤 편파적 요인이 개입될 수가 있는 것이다. 6.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집을 일정한 하위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하위집단에서의 첫 표집을 난수표에 의하여 결정하면 이러한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 확률적 표집 |
체벌 體罰 corporal punishment
|
1. 훈육의 한 방법으로서 특정의 행동을 중단하도록 하기 위해 신체적 고통을 가하는 것 2. 체벌은 신체적 고통을 가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 좌절감이나 갈등을 유발하고, 동료 학생에게도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이의 사용을 둘러싸고 논란이 있어 왔다. 3. 특히 이는 부정적(否定的) 자아개념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효과도 의문시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권장하거나, 또는 법령이나 행정지시를 통해서 금지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4. 그러나 일선의 교사나 부모의 대부분이 체벌을 훈육의 방법으로 사용하여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체벌은 아직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체제 體制 system
|
1. 어떤 정해진 목적, 또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 구성요소, 혹은 부분이 전체와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조화롭게 기능하는 관계의 집합 내지 단위 2. 다시 말하면, 투입(input)-전환(process)-산출(output) 과정에서의 사물과 이들 사이의 관계라 할 수 있으며, 조직의 업무수행과 그 성취를 이해하기 위한 분석적인 틀로서 흔히 다음과 같이 제시되고 있다. 투입→전환→산출 3. 이러한 체제의 일반적인 특성 내지 속성을 다음 몇 가지로 종합할 수가 있겠다. ⑴ 목표지향적(目標指向的)이다. 즉, 뚜렷하게 설정된 목표, 곧 성취해야 할 「무엇」이 있다. ⑵ 부분과 부분, 또는 부분과 전체의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전체로서 기능을 발휘한다. 즉, 문제를 종합적으로 본다. ⑶ 투입에 대한 산출, 또는 효과에 강조를 둔다. ⑷ 결과의 평가가 다시 재투입되는 환류(還流, feedback) 기능을 가진다. 4. 이렇듯 체제는 모든 현상(現象)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데 적용할 수 있는 논의기준이며 사고양식(思考樣式)이라고 볼 수 있으며 모든 사회현상이나 교육문제들을 개념화하도록 그 기초를 제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