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교육과정 統合敎育課程 integrated curriculum, unified curriculum
|
1. 교과영역에 구애됨이 없이 이들을 횡단하여 일정한 기준에 따라 학습내용 및 경험을 선정, 조직하려는 교육과정. 2. 경험형 교육과정은 거의 이런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중핵 교육과정은 이의 대표적인 예이다. 3. 교육내용이 통합되면 개개인의 인격도 통합될 것이며 나아가서 사회도 구심점을 중심으로 통합될 것이라는 가정에 그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다. 4. 그런데 학습내용 및 경험을 어떻게 통합시킬 것이냐에 따라 여러 종류의 교육과정이 나타나게 된다. 5. 주제를 중심으로 한 광역(broad-field)형, 과정(課程)을 이원화한 중핵(core)형, 학습자의 현재욕구를 중심으로 한 생성형 등은 통합 교육과정의 형태를 취한 것들이다. ? 중핵 교육과정, 광역 교육과정, 생성 교육과정 |
통합성 統合性 integrity
|
1. 어떤 신념이나 이론의 체계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이 모순?갈등?충돌이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응집력을 가진 상태 ⑴ 구성요소들 간에 서로 모순?갈등?충돌이 없는 소극적 특징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의미있게 서로 연결되어 상호보조적인 정도가 높은 것을 통합성이 높다고 한다. ⑵ 문화체제의 경우에 사회의 구성원들이 문화적으로 집단별 특수성으로 인한 갈등이나 대립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서로 공통의 요인에 의해서 높은 연대감을 가질 때 통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⑶ 신념체제의 경우에 신념의 요소들이 논리적 일관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서로 의미 있게 상호기반을 제공하고 있을 때 통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⑷ 반대로, 예컨대 상관에게는 인격의 존중을 주장하고 부하에게는 자신이 인격적 멸시를 일삼는 것은 통합된 신념체제의 소유자가 아니다. 2. 교육 과정 구성에 있어서 선정된 학습내용 또는 학습경험을 조직하는 단계에서 지켜야 할 내용 또는 경험의 횡적 연계성 ⑴ 예컨대, 중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을 구성함에 있어서 같은 학년에 나타나는 국어?수학?과학?영어 등의 교과에서 다루어지는 목표나 내용의 수준 또는 종류가 횡적으로 일정하게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⑵ 다른 교과, 특히 도구교과 등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개념이나 법칙을 학습된 것으로 전제하고 경험이나 내용을 조직하게 되면 교육과정 운영의 효과를 감소시킨다는 근거에서 강조되는 원칙이다. ⑶ 이 원칙은 교육과정 내용조직에서 계속성?계열성과 더불어 세 기본원칙 중의 하나가 된다. |
퇴행 退行 regression
|
1. 욕구를 현실적으로 충족시킬 수 없을 때 발달이나 진화상(進化上)의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는 현상 2. 발달의 전 단계에서 유효했던 옛날의 사고?감정?행동양식으로 되돌아가 그것이 현재에도 유효하리라 생각하여 예전의 행동을 되풀이하는 것을 말한다. 3. 퇴행이 심하면 유치증(幼稚症)에 빠질 수도 있다. 4. 또한 퇴행은 문제해결의 합리적인 방법이 아니며 갈등이나 곤란한 상태에서 도피하는 일종의 방어 기제(防禦機制)이다. |
투사 投射 projection
|
자아에 의해서 받아들여질 수 없는 욕망이나 동기가 타인에게 귀속화(歸屬化)되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방어기제(防禦機制)의 일종 |
투사적 방법 投射的方法 projective technique
|
1. 다소 모호한 시각적 또는 언어적 자극을 제시하여 놓고 피검사자에게 그 자극을 재구성시킨 다음,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자기도 모르게 노출된 피검사자의 욕구나 감정 등을 중심으로 그의 성격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 2. 투사적 방법에는 로오르샤하 잉크 오점검사(Rorschach Ink-blot Test), 주제통각검사(主題統覺檢査, TAT), 문장완성검사(SCT)를 비롯하여 인물화를 통한 성격진단(DAT)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종류의 검사가 있다. |
투입 投入 input
|
1. 어떤 체제(體制, system) 안에 들어가는 자료나 정보의 총칭 2. 다시 말하면 어떤 물질?인간?에너지?재정 등 어떤 체제 안에 들어가는 자원을 말하며, 이것은 체제 자체에 의하여 여과(濾過)와 전환과정을 거치게 된다. 3. 예컨대 학교체제에 들어가게 되는 투입변인으로는 학생?교원?교육과정?재정?시설, 그리고 지역사회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교원의 경우 연령?학력?경력 등이 포함될 것이다. |
투자적 동기 投資的動機 investment motive
|
1. 공교육제도의 사회적 동기가 사회적 문제의 해결을 위한 투자에 있다는 것 2. 국가 혹은 어떤 단위의 사회가 제도적 교육을 계획하고 운영할 때,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력의 개발이나 충원 혹은 사회적 효용성을 겨냥하는 데 일차적인 동기를 둘 수 있다. 3. 이러한 동기는 교육받는 대상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지적 동기와는 구별된다. 4. 이 경우에 교육은 그 자체의 본질적 혹은 내재적 가치보다는 외재적 혹은 도구적 가치에 지배된다. 5. 그러나 투자적 교육의 과정이나 결과에 의해서 생산된 효용성은 결과적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고 복지적 효과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므로 복지적 교육과의 구분은 어디까지나 동기에 의한 구분이지 실제적 결과에 의한 구분은 아니다. ? 복지적 동기 |
특성이론 特性理論 trait theory
|
1. 개인을 각기 다양한 심리적 특성을 지닌 존재로 가정하고서 많은 사람들에게 공통적이라 여겨지는 여러 가지 특성을 발견하여 개인을 그러한 특성을 가진 정도에 비추어 기술(記述)하고 이해하려는 입장 2. 여러 가지 다양한 장면(場面)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지속적인 행동특징(行動特徵) 또는 반응경향성을 특성(trait)이라 하는데, 모든 특성은 누구에게나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다만 양적인 정도의 차이가 있을 따름이다. 3. 퍼스낼리티 이론으로서 특성론의 입장은 몇 가지 공통적인 성격특성(예컨대, 충동성?사회성?책임성?지배성?안정성?동조성?우월성?남향성?사려성 등)을 발견하고 이러한 성격 특성을 가진 정도에 비추어 개인의 성격을 이해하고자 한다. 4. 그리고 이러한 특성론의 입장은 성격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적성?흥미?가치관?능력 등 그 밖의 행동측면에도 적용이 되며, 요인분석(要因分析, factor analysis)의 통계적 방법은 특성의 발견과 여러 특성간의 관계구조(關係構造)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공헌을 하고 있다. ? 성격특성, 요인 분석 |
특수사회화 特殊社會化 special socialization
|
1. 사회구성원 개개인이 속하게 되는 특수환경이 요구하는 신체적, 지적, 도덕적 특성의 함양 2. 한 사회가 유지?존속하기 위해서는 보편적인 신념과 가치체계의 전달?학습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전체를 구성하는 부분적인 하위사회에서 요구되는 가치의 전달이 필요하다. 3. 뒤르껭(E. Durkheim)은 한 사회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직업집단이 필요하며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사회의 분업화가 가속된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4. 사회변화를 경험하면서도 사회가 유지되는 근본역동에 관심을 가진 그는 기계적 연대(mechanical solidarity)와 유기적 연대(organic solidarity)의 개념으로 산업화 이행을 통한 사회유지방식을 설명하였다. 5. 산업화사회는 서로 이질적인 직업과 가치관이 혼재해 있으며 이들은 전체적으로 유기적인 관련을 갖고 있음으로 해서 사회존속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6. 분업화된 각 사회집단 또는 그 하위집단은 그 나름대로 요구하는 신체적, 지적, 도덕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도 지적하였다. 7. 학교교육에서는 후기 중등교육 단계와 고등교육이 직업세계에 필요한 특수사회화기능을 수행하며, 초등학교 단계에서는 보편적 사회화를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
팀 티칭 team teaching
|
1. 교수-학습조직을 개선하려는 수업조직 형태의 하나 2. 교사의 협력수업 체제, 학생의 융통성 있는 편성 및 교육공학 발전의 체계적 적용이라는 특징을 가진 수업조직 방법이다. 3. 팀 티칭의 방식은 몇 사람의 교사가 팀을 만들고, 몇 학급의 학생들을 하나의 집단으로 편성한 후, 그 집단을 대집단?중집단?소집단?개인별 등으로 융통성 있게 편성하고, 새로운 교육공학을 적절하게 도입하여 학생들의 학습과 생활을 지도하려는 방법이다. 4. 팀을 이룬 교사는 각기 그 팀에 특이하게 공헌할 수 있는 역할을 가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며 그들은 공동으로 계획을 세워 실천에 옮기고 있다. |
패러다임 paradigm
|
사물의 특징을 설명하고자 할 때 어떤 개념적 구조나 원리에 의해서 그것을 파악하는 인식(認識)의 틀. 형태?예시(例示) 모형(模型)과 비슷한말이다. ? 모형 |
퍼트 PERT ;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
1.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계 획 수립 및 관리 기법 2. 1958년 미 해군이 폴라리스(Polaris) 유도탄을 연구?개발?관리하기 위하여 개발하고 실용화한 것이다. 3. 하나의 사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다수의 세부사업을 단계(event)와 활동으로 세분하여 관련된 계획 공정(network)으로 묶고, 각 활동의 소요시간을 낙관시간(樂觀時間), 최가능시간, 비관시간 등 세 가지로 추정하고 이를 평균하여 기대시간(期待時間)을 추정한다. 4. 전체사업을 완료하는 데 가장 빠른 기대시간을 계산하고, 주어진 계획시간 내에 완료할 수 있는 확률을 나타낸다. ? 시 피 엠 |
평균편차 平均偏差 average deviation
|
1. 변산도지수의 하나로서 한 집단의 산술평균으로부터 모든 점수까지의 거리의 평균 2. 평균편차를 AD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는) |
평등 平等 equality
|
1. 신분(身分)?성별(性別)?재산?종족 등에 관계 없이 인간의 기본적인 가치는 모두 동등하다는 뜻 2. 동일성(同一性)과 공정성(公正性)으로 구분 해석될 수 있으며, 동일성과 같은 의미로 해석할 때, 이것은 인간을 대우하는 기본적인 양식(樣式)을 지칭한다. 3. 즉, 인간은 빈?부?귀?천의 차이 없이 누구나 동일하게 태어났으며, 따라서 그들의 대우에 있어서 차별이 있을 수 없다. 4. 동일성에 따르면 평등이란 동질적(同質的)인 면을 고려하여 동일하게 대우하는 것이다. 5. 그러나 동질성은 범주(category)에 의해 달리 규정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어떤 인간도 타인과 완전히 동일할 수 없으므로 동일성에 의한 정의는 평등의 준거(準據)를 소극적으로 제시할 뿐이다. 6. 평등을 공정성으로 파악할 때는 평등을 전제한 규정과 실천은 정당한 규칙에 따른 것이어야 하며 그 규칙은 대상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것의 적절성(適切性)에 비추어 적용되어야 한다. 즉, 공정성은 어떤 결과가 평등하냐의 문제에 관한 것이 아니고 어떤 과정(過程)이 평등을 만족시키느냐에 관한 것이다. |
평생교육 平生敎育 [영] life-long education [프] education permanente
|
1. 유아에서 시작하여 노년에 이르기까지 평생에 걸친 교육 2.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을 동시에 포괄하는 개념으로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가 평생교육 이념 하에 교육체제를 재정립하는 과정에 있다. 3. 평생교육이 세계적인 관점에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네스코를 중심으로 한 활동에서 연유되었다. 4. 평생교육의 교육이념이 정식으로 유네스코에서 채택된 것은 제3차 성인교육국제회의(1972년, 동경에서 개최)에서였다. 5. 이 대회에서 33개 항목으로 구성된 건의서가 받아들여졌는데 그 중에는 "성인교육은 평생교육에 통합된 분야로 보아야 한다."는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6. 우리나라에서는 1973년 8월에 유네스코 한국위원회가 주최한 세미나에서 평생교육의 기본이념과 전략이 토의되고 건의서가 채택되었다. 7. 평생교육의 어원 : 프랑스어 education permanente에서 연유되었으며, 그 용어는 본래의미가 충분히 표현되기 위해서는 통합의 의미를 고려하여 life-long integrated education으로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8. 평생교육의 기본철학 : 전통적 학교교육에 대한 의문에서 제기되었고 그 이론적 틀은 사회변동, 생의 주기(週期)와 그 질적 내용 및 계속통합교육의 세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9. 평생교육의 목적 : 개인의 신체적?인격적인 성숙과 사회적?경제적?문화적인 성장 발달을 전 생애를 통하여 계속시키는 데 있으며, 이러한 평생학습의 기회는 삶의 현장에서 언제, 어디서, 어떤 방법으로든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신념에 근거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