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제분석 體制分析 systems analysis
|
1. 과학적인 문제해결 방식의 한 형태 2. 정책결정자 또는 의사결정자가 목표를 설정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대안들을 상황과의 관련 하에 내세우고, 각 대안을 이에 소용되는 비용과 이익의 대비에 의해 비교하여 가장 좋은, 또는 최적의 대안을 택하도록 하는 체계적인 분석 절차를 말한다. 3. 뱅하트(F. W. Banghart)는 이러한 체제분석에서 사용되는 주요 활동내용은 상황분석?체제접근?체제평가?체제설계, 그리고 체제운영 등의 다섯 단계의 과정을 포함한다고 주장하였다. 4. 그런데 최근에는 체제접근과 체제분석의 과정을 유사하게 혼용하여 그 구분(區分)을 정확하게 하기 힘들다. ? 체제접근 |
체제접근 體制接近 systems approach
|
1. 의사결정자나 계획자에게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문제해결과 목표달성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고양식 2. 다시 말하면 체제를 정적 상태가 아닌 동적인 개념으로 파악하는, 효과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사고절차(思考節次)라 할 수 있다. 3. 체제접근의 전형적인 예로서 1973년 미국의 국가안보 산업 협회(National Security Industrial Association)의 연구진이 개발한 단계와 절차를 들 수 있다. 4. 이것은 훈련문제에 체제접근을 적용한 예로서 그 모형과 구성변인 필요분석, 목표설정, 대안제시, 대안의 분석 및 선정, 실행, 피드 백 등이다. 5. 이러한 체제접근을 교육문제 해결에 적용하고 있는 카우프만(R. A. Kaufman)은 체제접근을,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데 통용되는 논리적인 문제해결 과정의 한 형태로 규정하고, 교육에서의 체제접근 일반 모형을 다음 그림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6. 여기서 첫째 2개의 단계의 체제계획 과정에서 문제를 확인하고, 셋째 단계부터 마지막 단계까지인 체제 종합과정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을 선택하여, 그 결과를 평가하고 피드백하여 각 단계별 기능이 최적으로 기능하도록 하여 체제가 개선되어 나가는 순환과정으로 되어 있다. 7. 이러한 모형은 실번(Silvern)이 제시 한 분석?종합?모형화 그리고 모의실험(simulation)과도 상통한다. 8. 체제접근의 주요절차 ⑴ 명확한 목표설정 ⑵ 대안의 창출 ⑶ 대안의 실행 ⑷ 평가의 수행 ⑸ 피드백 작업을 포함한다. 9. 이렇듯 체제의 조화로운 운영과 산출의 극대화를 지향하고자 하는 것이다. |
초기 경험 初期經驗 early experience
|
1. 유기체(有機體)가 단세포(單細胞)의 접합자(接合子)로부터 성숙한 어른이 될 때까지의 경험이 그 뒤의 행동 또는 기능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가를 밝히려는 연구영역. 동물의 실험에서 인간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2. 동물의 경우 로렌츠(K. Lorenz)의 각인(刻印, imprinting) 학습이 모자관계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부터 생후 초기에서의 감각결핍이 뒤에 오는 행동에 주는 영향이라든지, 하로우(H. F. Harlow)의 유명한 실험인 피부접촉에서 오는 따뜻한 느낌이 신체적?지적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등이 그 대표적 예이다. 3. 모성결핍에 관한 연구나, 초기의 문화실조 현상이 뒤에 오는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부의 건강상태?정서상태 또는 약물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 등이 이 영역에 속한다. 4. 정신분석학에서는 만 5세 이전의 모자관계를 초기 경험으로 생각하며 성격형성의 중요한 시기라 한다. |
초등교육 初等敎育 elementary education
|
1. 가장 기초적인 지식?기능?태도 등을 가르치는 국민교육, 또는 보통교육. 국민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자질을 배양하는 기초교육으로서 중등교육 또는 고등교육과 대비되는 용어이다. 2. 이러한 초등교육은 대개 초등학교에서 의무교육으로 또는 그 일부로서 실시되고 있다. 3. 원래 초등교육은 19세기 말엽 교육의 기회균등 사상에 입각하여 실현되었고 상류계급의 학교와는 별개로 서민의 학교로 발전하였다. |
총교육비 總敎育費 educational expenditures
|
1.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데 투입되는 모든 비용 2. 교육비는 투입과정에 따라서 직접교육비와 간접교육비로 나눌 수 있고, 재원에 따라 공교육비와 사교육비로 구분할 수 있으며, 투입목적에 따라서는 매년 소요되는 운영비와 장기적 투자인 시설비로 볼 수 있다. 3. 또한 기회비용과 실질비용, 사적비용과 사회적 비용, 고정 비용과 가변비용, 자본비용과 경상비용, 장기 비용과 단기 비용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4. 이러한 교육비의 분류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직접교육비와 간접교육비(기회 경비)의 구분이다. 5. 직접교육비는 교육에 직접 투입되는 비용으로서, 공교육비만을 일컫는 견해도 있기는 하지만, 공교육비와 사교육비가 모두 포함된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6. 공교육비는 부담하는 주체에 따라 공부담 공교육비와 사부담 공교육비로 구분된다. 7. 여기에서 주의할 것은 사부담 공교육비와 사교육비와의 차이이다. 8. 이 둘은 학부모가 그들 자녀를 위하여 지출하는 비용, 즉 사부담 교육비라는 점에서는 같으나 사부담 공교육비는 학교교육에 대한 반대급부로서 지출하는 납입금(수업료, 육(기)성회비, 입학금 등)이 되나 사교육비는 학교교비나 육(기)성회 예산에 계정되지 않는 학용품비, 교통비, 잡비 등을 말한다. 간접 교육비란 교육기회비용(유실소득)을 말한다. 9. 교육비는 교육활동에 직접 투입되는 화폐적 지출이기는 하나 흔히 비화폐적 지출도 교육비로 보는 경우가 있다. 10.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기회비용이다. 11. 교육비의 종류를 그림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공교육비, 사교육비, 직접교육비, 간접교육비, 교육기회경비 |
총평 總評 assessment
|
1. 머레이(Murray)가 《인성의 탐구》(1938)라는 저서에서 처음 사용. 전인격평가 혹은 총인격평가 라고도 한다. 2. 그 뒤 O.S.S.총평(1948)에서 사용했던 것이 이 용어가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이며 전인격 평가와 같은 개념이다. 3. 즉 개인의 행동특성을 특별한 환경, 특별한 과업, 특별한 준거상황에 관련시켜 의사결정을 하려는 것을 말한다. 4. 따라서 총평의 분석방법은 개인이 달성해야 할 어떤 준거의 분석과 이 개인이 생활하고, 학습하고, 작업해야 할 환경의 분석에서 출발한다. 5. 총평에서는 환경이 강요하는 심리적 압력, 요구하는 역할이 무엇인지를 결정해야 하며, 그 사이에 존재하는 단계적 순서, 일관성 및 갈등을 분석 결정하는 일이 중요한 목표가 된다. 6. 그런 다음, 이 환경 속에서 생활하고 학습해야 할 개인에 관한 증거, 예컨대 취약점과 장점, 욕구, 인성특성, 능력 등을 결정하게 된다. 7. 따라서 분석의 순서로 보면 환경이 요구하는 압력이나 역할을 분석하는 과정이 먼저 오고, 다음에 개인의 특성이 이에 적합한지 어떤지를 분석, 결정하게 된다. 8. 총평의 관점은 임상에 임하는 의사의 임상적 평가방법(clinical evaluation)과 유사하며, 측정방법에 있어서는 계량적인 측정방법 이외에 전체적이며 때로는 직관적인 판단, 질적인 평가방법, 과거-현재-미래를 통합한 판단이 이용된다. 9. 총평에서 사용하는 개인에 관한 정보의 수집은 구조화된 객관식 검사형태, 비 구조화된 투사적 방법, 자기보고방법, 관찰, 면접, 장면검사, 역할연출, 자유연상법 등의 다양한 형태를 통해 이루어진다. |
최대능력검사 最大能力檢査 maximum performance measures
|
1. 피검사자에게 어떤 반응을 요구하느냐에 따라 표준화심리검사를 분류하는 한 방법으로 대표적 행동표현검사와 최대능력검사로 나눌 수 있는데 피검사자로 하여금 주어진 검사에서 최대능력을 나타내도록 요구하는 검사 2. 최대능력검사에는 학력검사?지능검사 또는 적성검사와 같이 인간의 지적 영역을 측정하는 검사들이 속한다. 3. 최대능력검사는 피검사자에게 최대능력을 나타내도록 요구하기 때문에 대표적 행동표현검사에서와 같이 피검사자가 의도적으로 검사결과를 왜곡시키기는 어렵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4. 또한 최대능력검사는 주어진 일정한 시간 내에 얼마만큼 문제를 해결하느냐 하는 속도검사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 대표적 행동표현검사 |
최빈치 最頻値 mode
|
1. 집중경향치(集中傾向値)의 하나로서 점수분포상에서 가장 빈도가 많은 점수. 흔히로 표시한다. 2. 예를 들어 12, 12 14, 14, 18, 18, 18, 18, 19, 20, 20의 경우처럼 묶지 않은 자료에서는 18이 그 빈도가 4로서 가장 많으므로 최빈치가 된다. 3. 일정한 급간으로 묶은 자료에서는 가장 빈도가 많은 급간의 중간점이 최빈치가 된다. 4. 때로는 그 분포가 낙타의 등처럼 최대의 빈도를 가진 점수가 두 개 있는 경우에는 이중최빈치(二重最頻値)라고 부르며, 이 경우에는 두 개의 최빈치의 합의 평균을 내거나 또는 두 개의 최빈치로서 나타낼 수밖에 없다. 5. 최빈치는 손쉽게 분포의 경향을 빨리 알아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표집에 따른 변화가 가장 크고 또한 어떻게 자료를 묶느냐에 따라 변화가 커서 다른 집중경향치 중에 가장 안정성이 적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 집중경향 |
최소능력검사 最少能力檢査 minimum competency testing
|
1. 1970년대에 미국에서 고등학교 졸업생이 자신의 취직을 위한 이력서조차 쓰지 못하고 있다는 산업기관으로부터의 비난과 일반시민의 관심 그리고 교육의 책임성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된,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학생의 졸업자격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2. 최소성취(minimum achievement)검사라고 하지 않고 최소능력검사라고 한 것은 시험의 목적이 기초적인 기능 및 실생활에서 적용되는 실제적인 능력에 초점을 둔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3. 또한 이러한 최소능력검사의 목적은 학교가 학생들에게 최소수준의 능력을 함양하였는가의 교육의 책무성을 따지는 목적만이 아니라 학생의 입장에서 학습권, 좀더 나아가 성취권의 권리의 주장이라는 견지에서도 그 실천의 의의를 갖고 있다. 4. 즉 학생은 학교로부터 일정한 최소수준의 성취를 보장받을 권리가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는 의미에서도 최소능력검사는 그 의의를 갖고 있다. 5. 현대에 미국의 50개의 주 중에서 48개의 주가 이러한 최소능력검사라는 견지에서 고등학교졸업 직전의 학생에게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6. 만약에 이 시험에 통과를 하지 못한 학생은 졸업장 대신에 수료증을 주게 되며 후에 다시 이 시험에 응시하도록 하고 있다. 7. 또한 성취권의 보장이라는 견지에서 고등학교 1, 2학년 때에 예비시험을 치르고 일정한 수준에 이르지 못한 학생에게는 교정학습이나 보충학습을 하도록 조치하는 경우도 있다. 8. 최소능력검사는 절대기준검사의 한 형태이지만 다른 점은 주어진 목표별로 구체적인 성취수준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총점으로 나타내고 있다는 점과 그 측정의 목표가 학력의 측정이라는 성취측정보다는 일상생활에서 실제적으로 요구되는 기초적 능력의 측정이라는 점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9. 그러나 절대기준검사와 마찬가지로 최소능력의 달성수준과 그 달성내용목표를 설정하는 데에 객관성과 일관성이 없다는 데서 많은 실천상의 애로점을 갖고 있다. 10. 이러한 최소능력검사 운동은 초등학교 또는 중학교를 졸업하는 학생에게도 적용하고자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세계 각국에서도 미국의 이러한 최소능력검사운동의 영향을 받고 이러한 유형의 시험형태가 행하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
추리 推理 inference
|
1. 한 명제를 출발점, 혹은 기본적인 전제로 하여, 어떤 다른 명제를 도착점, 혹은 결론으로 획득하는 과정 2. 전제와 결론을 연결짓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련(一連)의 명제군(命題群)이 규칙에 따라 연결되어 있는 것을 논증(論證, argument)이라고 하며, 이러한 논증을 전개하는 것을 논리적 추리라고 한다. 3. 좁은 의미의 추리는 이 논리적 추리를 가리키지만, 논리적 추리 이외에 통계적(統計的) 추리?유추적(類推的) 추리?인과적(因果的) 추리 등이 있다. 4. 논리적 추리에는 개별적인 특징명제들을 일반화(一般化)하는 귀납적(歸納的) 추리와, 일반화의 명제에서 특징명제를 결론으로 도출하는 연역적(演繹的) 추리가 있다. 5. 통계적 추리는 일반적으로 귀납적 추리의 일종으로 본다. 6. 「연역적 추리」는 논리적 형식에 따라 전제에서 결론을 도출하는 논증의 과정을 통칭하는 것으로도 사용되며, 좁은 의미의 논리적 추리는 이러한 의미의 연역적 추리와 같은 말로 이해되고 있다. ? 논증, 연역법, 귀납법 |
추리통계 推理統計 inferential statistics
|
1. 얻어진 하나의 표집(標集)을 통하여 전집(全集)의 모수치(母數値)를 추정하는 통계적 방법 2. 이를 표집통계, 또는 귀납적 통계 방법이라고도 부른다. 기술통계(記述統計)는 주어진 집단을 요약, 기술하는 데 관심이 있는 반면에, 추리통계는 한 표집에서 얻어진 통계치(또는, 표집치)를 통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집의 전집치(또는, 모수치)를 추정하는 데 관심이 있다. 3. 예를 들어 한 표집에서 얻어진 산술평균치를 X라고 하면, 이 X를 통하여 이 표집을 대표하는 전집의 평균 μ를 표집오차를 고려하여 추정하게 된다. 이 추리통계적 방법에는 전집치가 어떤 일정한 값을 갖는다고 생각하고, 이를 가설로 설정하여 검증하는 가설 검증방법, 전집치의 값을 일정한 범위를 갖고 추정하는 신뢰구간 설정방법(信賴區間設定方法) 및 전문적?주관적인 견지에서 일정한 방법으로 표집한 표집치를 전집치로 대용하는 점추정방법(點推定方法)의 세 가지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 기술통계 |
출발점 행동 出發點行動 entering behavior
|
1. 수업이 시작될 때까지 이룩되어 있는 학생의 수준 2. 여기에서 학생의 수준이란 선행학습(先行學習)이 무엇이냐를 비롯하여, 그의 지적 능력과 발달 정도?동기상태?학습능력에 영향을 주는 여러 사회적?문화적 요인을 가리킨다. 3. 일반적으로 출발점 행동은 인간능력의 개인차?학습준비성 등에 비하여 더 정확(的確)한 용어이며, 이같은 행동을 시발행동(始發行動)?투입행동?학습에 대한 선행경향성?적성 등으로 부르는 사람도 있다. 4. 출발점 행동의 진단은 한 수업단위의 시작에 즈음하여 학생이 지니고 있어야 하고 그 수업에 적합한 지식?기능?태도를 밝히는 작업이다. 5. 효과적인 수업과 수업자료를 개발하여 수업과정에서 성공적인 경험을 얻고 학습자와 수업 프로그램간의 유대를 굳게 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6. 출발점 기능 내지 행동을 확인함으로써 교정학습(矯正學習)이 필요한 학습결손자를 가려낼 수 있다. ? 준비도, 투입 행동, 교정학습 |
충동 衝動 impulse
|
1. 판단이 따르지 않고 목적 관념을 떠나서 일어나는 의식 2. 생각하지 않고 행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원시적 반응, 즉 목표만을 생각하여 장벽을 의식하거나 우회(迂廻)하려는 생각이 없는 직선적 반응이나 발작적으로 행동하는 폭발반응을 나타낸다. 3. 정신분열증 환자나 정신박약아에게서 많이 나타나나 피로가 심할 때나 심적 구조가 단순할 때도 잘 일어난다. |
충분조건 充分條件 sufficient condition
|
1. 두 개의 명제 혹은 두 개의 사건에 대해 어느 하나를 옳다고 주장하는 것이 다른 하나를 주장하는 데에 충분한 조건 2. 이때 전자를 후자의 충분조건이라고 한다. 3. 예컨대, 명제 p가 참[眞]이라면 q도 참일 때, 또는 사건 C가 일어나면 E도 일어날 때, p와 C는 q와 E의 충분조건이다. 4. 이 때 p를 논리적 충분조건이라 하고, C를 인과론적 충분조건이라 한다. 5. 즉, “박씨는 어머니이다"는 "박씨는 여자이다"의 논리적 충분조건이고, 1기압에서 물의 온도가 100℃가 되는 것은 물이 끓기 위한 인과론적 충분조건이다. |
취학전 교육 就學前敎育 early childhood education
|
1. 학령(學齡) 이전 아동을 보육(保育)하고 적당한 환경을 제공하여 심신의 발달을 조장하는 교육 2. 대체로 만 4~5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다. 3. 독일의 프뢰벨(F. W. A. Frobel)과 코메니우스(J. Comenius)가 그 창시자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는 1914년 정동(貞洞)의 이화유치원(이화학당 부속)에서 처음 취학전 교육을 실시하였다고 한다. 4. 유치원은 아직 명실공히 공교육 체계 속에 편입되지 못하고 있지만 앞으로 연한 연장, 그리고 평생교육(平生敎育)의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의 취학전 교육도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