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자유학과 七自由學科 seven liberal arts
|
1. 로마 시대부터 중세에 걸쳐 주로 중등교육이상에서 교수(敎授)되어 오던 과목 2. 그 내용은 문법?수사(修辭)?변증법(辨證法)의 3학(三學)과 산수?기하?천문(天文)?음악의 4과(四科)를 말한다. 3. 이것은 실제적?기술적?실과적인 교과내용과는 상반되는 성격을 지니는 교과로서, 그 기원은 플라톤(Platon), 소피스트(Sophist), 퀸틸리아누스(Quintilianus)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소위 그리이스적인 교육은, 다만 실용성이라든가 생활기능에 치중한 원시적인 교육과는 달리 인간으로서의 완성, 무엇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자신의 수양?완성을 위한 자유교육을 숭상하였으며, 그것은 바로 7자유학과를 통하여 다면적인 지식을 갖추는 교육이었다. 5. 오늘날 강조되고 있는 교양교육도 이들 7자유학과의 교육에서 연유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칠재 七齋
|
1. 고려 예종 대에 세워진 유학 및 무예의 고등교육기관 2. 예종 4(1109)년 7월에 관학을 진흥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3. 칠재의 구성은 전공과목에 따라서 여택(麗澤; 주역전공), 대빙(待聘, 상서전공), 경덕(經德; 모시전공), 구인(求仁; 주례전공), 복응(服膺; 대례전공), 양정(養正, 춘추전공), 강예(講藝; 무학 전공) 등 7개의 재로 되어 있었는데, 크게 유학과 무학으로 구분하기도 하였다. 4. 당시 관료들은 칠재의 설치에 반대하는 의견이 많아서 실제 교육이 시작된 것은 예종 14(1119)년에 유학 60명, 무학 17명을 배치하면서부터였다. 5. 이 중에서 무학은 문신들의 반대로 인종 11(1133)년에 폐지되었다. 6. 이후의 운영상황은 명확하지 않지만, 고려 말까지 각 재의 명칭이 보이는 것을 보아 계속 존속하였던 것은 분명한 듯하다. 7. 칠재의 성격에 대해서는 송나라의 삼사법의 영향을 받아 국학에 설치된 상급교육기관이라는 설과 국자감의 조직을 개편한 것이라는 설이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
카리스마 [독] Charisma
|
1. 초인적(超人的) 또는 초자연적 능력과 자질을 가진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성격상의 신비로운 특질 2. 신비적 지도성으로 번역되며, 성직자(聖職者)들에게서 볼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의미하는 기독교의 개념을, 독일의 사회학자 베버(M. Weber)가 차용한 것으로 「은총의 선물」이라는 뜻이다. 3. 이러한 성격의 지도자를 카리스마적 지도자라 부른다. ? 신비적 지도성 |
캐롤의 학교학습 모형 ― 學校學習模型 the Carroll model of school learning
|
1.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캐롤(J. B. Carroll)이 1963년에 발표한 바 있는 학교학습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 2. 그 후에 블룸(B. S. Bloom)이 그의 완전습득 학습(完全習得學習)의 이론적 배경으로 삼게 됨에 따라 크게 각광을 받게 되었다. 3. 이 이론적 모형의 핵심점은 학교학습의 상황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학습성취도(學習成就度)에서의 개인차(個人差)를, 학습에 필요한 시간량과 학습에 투입(사용)한 시간량의 비(比)로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4. 이를 방정식의 모양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의 정도 = f 5. 여기서, 분모의 필요 시간량의 결정 변수(變數)는 ① 적성 ② 수업 이해력 ③ 수업의질(質)이며, 분자의 투입 시간량의 결정 변수는 ④ 학습 기회 ⑤ 학습 지속력(遲速力)이다. |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
|
1. 제 2차 세계대전 이래 공학?심리학?사회학?국제관계이론?인식론?예술?광고?노사관계 등에서 점차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서 어떤 정보를 언어?문자?기호?상징 등의 수단으로 교환하는 것 2. 동물은 시각?청각?후각?촉각 등을 통해서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교미를 하거나 배우자(配偶者)를 선택할 때는 물론 집단을 형성하거나 영토를 소유할 때도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3. 교육?심리학에서는 다음과 같이 광범위한 연구영역으로 구별되어 발전되고 있다. ⑴ 비형식적 사회적 커뮤니케이션(informal social communication) : 비형식적 집단 내에서 집단구성원간에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의 형태?조건?결과 등에 관한 것 ⑵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nonverbal communication) : 표정?손동작?발의 동작?몸 움직임 등과 같이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신체적 표현을 통해서 의사전달을 하는 것에 관련된 것 ⑶ 임상과 치료의 커뮤니케이션(clinical & therapeutic communication) : 인간의 심리적 역동(心理的逆動)은 언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심리적 이상(心理的異常)은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나타나기 때문에 이것은 카운슬링과 정신치료의 중핵적 활동을 이루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연구와 실천이 현재 활발함 ⑷ 조직에서의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in organization) : 학교?산업체?군부대?정부 등의 조직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형태?조건?결과 등에 관한 것 등이다. ? 의사소통 |
컴퓨터 경영수업 ―經營授業 computer managed instruction : CMI
|
1. 수업의 전개과정 중 주로 형성평가(形成評價)와 보충학습의 처방을 컴퓨터로 하는 수업 2. 강좌 또는 교과의 전체적 목표, 단원별 목표, 단원별로 학습해야 할 내용, 읽을 자료 등을 제시하여 학습자 나름의 자율학습을 한 후, 컴퓨터를 통해 학습한 단원의 평가를 받는다. 3. 평가는 절대기준적 평가로 이루어지며, 평가의 결과로 완전습득이 되었다고 인정되면, 다음 단원으로 진행할 수 있고, 그렇지 못하면 동형적(同型的) 성격의 검사로 재평가 받거나, 어떤 자료로 어떤 학습을 보다 충실히 해야 할 것인가를 지적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4. 컴퓨터 보조수업(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 CAI)과 다른 점은, 각 단원별 초기 수업단계는 개별적으로 또는 강의를 통해 수행된다는 점이다. ? 컴퓨터 보조수업 |
컴퓨터 능력적응검사 ― 能力適應檢査 computer adaptive testing
|
1. 컴퓨터화(化) 검사의 제 2세대로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전에 만들어진 문제은행으로부터 피험자의 능력수준과 일치하는 난이도 수준의 문항을 제시하고, 그 뒤 문항의 정답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난이도 수준의 새로운 문항이 제시되어 문항반응 결과에 따라 피험자의 능력이 추정되는 컴퓨터를 이용한 검사방법 2. 컴퓨터 능력 적응검사의 특징은 지필 검사나 컴퓨터 이용검사처럼 모든 피험자에게 동일문항이 제시되고 그 동일한 문항에 응답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제시된 문항의 정답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문항이 문제은행으로부터 제시된다. 3. 현재 제시된 문항의 정답여부에 의하여 다음에 제기되는 문항은 사전에 조정된 문제은행으로부터 문항 난이도 수준에 따라 제시되며, 각 피험자의 능력도 문제은행에 의하여 사전에 조정된 능력척도에 의하여 추정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4. 컴퓨터 능력 적응검사의 기본 구성요소로서 문제은행, 문항반응모형 선택, 검사 출발시 첫 번째 문항 선택 방법, 전번 문항의 정답여부에 따라 다음 문항을 제시하는 분지규칙(branching rule), 채점방법 그리고 검사종료의 기준을 든다. 5. 검사문항이 피험자에게 어렵지도 쉽지도 않을 때 피험자의 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원리에 입각하여 맞춤검사(tailored testing)란 용어가 출현하였으며, 맞춤검사에서는 다음에 제시될 문항이 현재 제시된 문항의 정답여부에 달려 있으며, 답을 맞혔을 경우는 보다 어려운 문항이, 그렇지 못하였을 경우는 보다 쉬운 문항이 제시된다. 6. 초기의 맞춤검사는 이론적으로나 실용적으로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전이 늦어지다가, 문항반응이론의 발전과 개인 컴퓨터의 일반화로 말미암아 컴퓨터 능력 적응검사라는 이름으로 독특한 새 영역을 정립하게 되었다 |
컴퓨터 보조수업 ― 補助授業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 CAI
|
1. 실제 수업과 수업평가까지 컴퓨터를 통해 하게 되는 수업 2. 프로그램화된 자료, 즉 주로 질문항목과 여러 가지 답항목으로 짝지어져 구성되어 있는 자료를 읽어나가면서 학습하고, 일정한 학습이 끝난 후에는 단원별 또는 전체적인 평가를 컴퓨터를 통해 제시되는 문제로 받게 된다. 3. 평가결과에 따라 보다 더 학습해야 할 부분 또는 과제의 내용과 참고문헌을 지적받기도 하는 수업 형태이다. 4. 컴퓨터 보조수업은 평가활동과 그 피드백(feedback)을 중심으로 한 컴퓨터 경영수업(computer managed instruction)보다는 컴퓨터의 활용 폭이 더 넓다. 5. 컴퓨터 보조수업에서 중심이 되는 과제는 학생들이 보이는 질문이나 활동 중에서 여러 가지 가능성을 예상하여 정교하게 프로그램화하는 것이다. 6. 초보적인 학습과제, 연습을 많이 요하는 학습과제 등에서 크게 활용될 수 있으며 그 가능성은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다. ? 컴퓨터 경영수업 |
케디-위스크 KEDI-WISC
|
1. 미국의 아동용 웩슬러 지능 검사(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Revised, WISC-R) 1974년 판의 한국어판 아동용 개인지능검사 2. 이 검사는 웩슬러의 지능관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는데, 웩슬러는 지능을 지적 능력과 비지요인인 성격적 요인으로 구성된 총체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으로 보았다. 3. 이 검사는 언어성 검사와 비언어성 검사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전체 지능지수뿐만 아니라 언어성 IQ와 동작성 IQ도 측정 가능하며, 이들 간의 점수차의 비교 분석을 통해 피검사자의 성격적 특성에 관한 임상적 진단도 가능하다. 4. 이 검사는 1986년에 5세부터 15세까지의 아동의 지능을 측정하도록 국내에서 표준화 과정을 거쳐 개발되었다. 5. 미국판 검사와 다른 점은 문화적 차이가 문제해결에 영향을 줄 것으로 추측되는 문항이 한국적인 것으로 대치되었다는 점이다. |
코스웨어 courseware
|
1. 교수-학습을 효과적?효율적으로 성취시킬 목적으로 바람직한 교수환경 또는 수업조건을 창출해 낼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 소프트웨어 2. 코스웨어는 교과과정(Course)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이다. 3. 그러므로 코스웨어는 좀 더 넓은 의미에서 볼 때 소프트웨어에 속한다. 그렇다고 모든 소프트웨어가 코스웨어라고 볼 수는 없다. 4. 코스웨어란 최근에 CAI의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대명사로 불려지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상호작용적 및 적응적 방식으로 수업의 전달체제를 구성하도록 컴퓨터를 이용하려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5. 코스웨어가 교육적인 의미와 교육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말은 곧 교수력이나 학습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학습자의 인지-정보처리과정에 따른 최적의 수업처방을 실행토록 한다는 뜻이다. 6. 최적의 수업처방이란 교과내용의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교수-학습이론에 근거하여 수업의 과정을 정교화시켜 주고, 학습자의 학습특성을 고려하여 학습내용 및 학습사태를 적응적으로 처방?제시하여 주는 것이다. 7. 죠나센(Jonassen)이 분석?제시한 코스웨어의 주요 구성요인 ⑴ 수업설계의 모형 ⑵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본질 ⑶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내용에 따른 적응 ⑷ 동기화를 위한 설계전략 등이 있다. ※ 이상의 다섯 가지 요인들은 학습의 과정을 촉진시켜 주는 데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는 요인들이지만 그 중에서도 핵심적인 요인으로는 「상호작용 요인」과 「적응적 요인」이다. 8. CAI의 코스웨어는 흔히 수업관련 요소와 수업 경영 체제로 구성되는데, 교수-학습과정에서 이용되는 코스웨어의 기본유형 ⑴ 반복연습형 ⑵ 개별교수형 ⑶ 교육적 게임형 ⑷ 모의실험학습형 또는 시뮬레이션형 ⑸ 자료제시형 ⑹ 문제해결형 ⑺ 학습도구형 등이 있다. 9. 교육용 코스웨어의 교육적 활용기능은 CAI와 CMI가 있다. 10. 코스웨어의 CAI 기능은 컴퓨터에 학습자료나 학습내용을 저장시킨 후 컴퓨터를 교수-학습 전달체제로 이용하는 것을 말하며, CMI의 기능은 학생들의 성적관리나 인적 사항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고 나아가서 학생들의 학업진전 상황을 분석하여 교수-학습활동의 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을 말한다. 11. 이상적 코스웨어의 특성 ⑴ 명세적 목표의 진술 ⑵ 학습자들의 발달심리적 특성 반영 ⑶ 상호작용 기능의 극대화 ⑷ 개별화 수업의 실행 ⑸ 학습자의 흥미 지속 ⑹ 친절하고 긍정적인 학습상황의 제공 ⑺ 다양한 피드백의 제공 ⑻ 이상적 수업환경 조성 ⑼ 학습행위의 적절한 평가 ⑽ 컴퓨터의 다양한 기능의 충분한 활용 ⑾ 교수설계의 원리적용 ⑿ 코스웨어의 질관리를 위한 평가수행 등을 들 수 있다. 12. 코스웨어 설계절차로는 수업목표 진술, 학습내용의 선정과 조직, 학습내용의 설계와 조직, 학습내용 제시를 위한 자료제작, 순서도 작성, 프로그램 작성, 프로그램의 질 관리 및 효과성 평가 등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
콜맨 보고서 ―報告書 The Coleman Report
|
1. 미국의 공립학교에 있어서 교육의 기회가 학생의 인종적 집단에 따라 지역적으로 어떻게 차별적인가를 밝혀, 1966년에 국회와 대통령에게 제출한 연구보고서 2. 콜맨(J. S. Coleman)의 연구책임 하에 수행된「교육의 기회균등」(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의 일반적 명칭이다. 3. 이 보고서가 밝힌 바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학업성취(學業成就)의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은 학교가 아니라 가정환경이라는 것이다. 4. 즉, 교육의 기회균등을 학업의 성취수준에서의 균등으로 볼 때, 백인(白人) 학생의 평균수준은 일반적으로 흑인 및 기타의 인종집단의 평균 수준보다 높지만, 학교 요인(1인당 교육비, 도서관 시설, 실험실 시설, 교과과정, 교원의 학력 경력 및 급여액 등)에 있어서는 인종집단의 학교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5. 이 연구는 부모의 교육수준과 사회 경제적 배경이 학업성취의 중요 결정 요인임을 믿어온 사람들에게는 재래의 상식을 확인한데 불과하며 이 점에서 그 결과는 인정되지만 연구방법상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6. 즉, 횡단적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전년도에 투입한 자원배분의 영향을 간과한 점, 한 교육구(敎育區)를 단위로 평균을 사용하여 교육구 내의 학교 대 학교의 차이를 무시한 점, 학교보다는 가정의 영향을 크게 받는 언어적 능력을 학업성취의 한 준거로 삼음으로써 학교가 미치는 영향력을 과소평가한 점, 자료수집 절차에서의 신뢰도 문제 등이다. |
쾌락원리 快樂原理 pleasure principle
|
1. 정신분석 이론에서 본능(本能)의 활동을 지배하는 원리 2. 원시적이며 생득적(生得的)인 본능을 충족시키려고 하는 것으로서 꿈?환상?정신병 등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3. 자아(自我)가 현실의 원리에 의해서 지배되는 것과 대비되어 설명된다. |
타당도 妥當度 validity
|
1. 평가도구가 측정하려고 하는 대상의 내용 그 자체를 재고 있는 충실성 2. 그 평가에서 재고 있는 것이 무엇(what)이냐 라는 개념과 관련되어 있다. 3. 예를 들면 추리력을 측정하려면 추리력을 측정해야지 기억력을 측정해서는 안 되며, 지능을 측정한다고 하면서 학력을 측정해서도 안 된다. 4. 이와 같은 타당도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그 정도를 따진다. ⑴ 안면 타당도(顔面妥當度, face validity) : 검사의 구성내용으로 보아 그 검사가 두엇을 재고 있는지를 피검사자의 주관적 인상에 따라 기술하게 하는 방법 ⑵ 내용 타당도(內容妥當度, content validity) : 전문가가 그 검사와 관련된 정의 전제?가설 등을 기초로 하여 그 검사내용의 타당성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방법 ⑶ 구인 타당도(構因妥當度, construct validity) : 측정대상의 속성에 따라 이론적 가설의 검증을 통하여 밝혀진 검사내용 및 득점에 관한 타당도 ⑷ 예언 타당도 (豫言妥當度, predictive validity) : 검사종료 후 상당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 검사 득점과 그 검사에서 목적으로 하였던 행동특징과의 상관도를 보아 그 검사의 타당성을 문제 삼는 방법 |
타일러식 평가 ―式評價 Tylerian evaluation
|
1. 타일러(R. Tyler)가 제안하는 평가모형. 목표성취 모형이라고 하며, 그는 교육평가를 교수프로그램의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나를 결정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2. 이러한 접근방법은 평가모형에 있어 가장 전통적인 방법이며, 가장 많은 동조자를 갖고 있는 접근방법이다. 3. 타일러는 교육의 과정 ⑴ 교육목표의 선정 및 세분화 ⑵ 학습경험의 선정과 조직 ⑶ 교수-학습 과정의 투입 ⑷ 교육평가의 과정으로 모델화하였다. 4. 이러한 모델 내에서 교육평가는 교육의 전체과정과 깊이 관련되어 있으며, 이같은 맥락 속에서 교육평가의 역할과 기능을 정의하려는 것이 타일러의 입장이다. 5. 그런 의미에서 타일러의 모형은 교육과정 평가에 가깝다고 판단해도 무방하다. 6. 타일러는 일반적으로 교육목표를 학생, 사회, 교과목이라는 세 가지 목표자원에 기초하고 학습심리와 교육철학이라는 두 가지 목표의 여과기능을 통해서 상세히 진술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일로 제안한다. 7. 이같이 진술된 목표를 측정 가능한 목표로 변환시키고 교수프로그램이 끝날 때 위의 절차에 의해 설정한 목표의 성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학생의 학업성취를 측정한다. 8. 목표의 불성취는 교수프로그램의 부적합을 나타내며, 목표의 성취는 교수프로그램의 성공을 나타내는 증거로 간주한다. 이같은 의미에서 타일러식 평가방법을 목표성취 모형이라고 한다. |
탈목표평가 脫目標評價 goal-free evaluation
|
1. 처음부터 어떤 특정한 프로그램, 교육정책이 어떤 목표로 시작했는지에 관한 지식과 정보 없이 여러 가지 평가 증거만을 수집해서 그 프로그램의 목표가 무엇이며, 그것이 제대로 성취되고 있는지, 그 가치는 무엇인지를 판단하는 평가 2. 평가자나 평가자 집단이 어떤 특정한 프로그램의 효과나 가치를 평가할 때는 자연히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모든 평가의 결과를 그 목표에 근거해서 판단하기 마련이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목표의 성취가 제대로 되었다고 보는 편견과 허위적인 합리성에 빠지게 되는 목표의거 평가(goal based evaluation)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이다. 3. 스크리븐(Scriven)에 의해서 주장되었으며, 그는 탈목표 평가의 개념은 교육평가 그 자체의 내재적 문제이기보다 어떤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육프로그램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적용되어야 할 개념으로 제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