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학교교육 脫學校敎育 deschooling
|
1. 1970년에 일리치(I. Illich)가 저술한 《탈학교의 사회》(Deschooling Society)에서 유래된 말 2. 일리치는 전통적 교육의 문제를 비판하고 탈학교교육을 제창했다. 3. 그는 현대 산업사회가 가지고 있는 여러 모순, 즉 비인간화?물량주의?소외(疏外)의 문제, 빈부의 격차, 그리고 그 격차를 조장하는 여러 사회제도를 분석하면서, 그 원인이 학교제도에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4. 일리치가 주장하는 탈학교교육은 단순히 학교교육을 폐지하자는 것은 아니며, 「빈곤의 극대화」,「사회의 양극화」 등, 학교제도로 야기된 현대문명의 모순을 비판하고 그것을 극복하여 우리 인간사회가 친화주의(親和主義)로 진보해야 한다는 방법론을 제시한 것이라 하겠다. 5. 일리치와 함께 라이머(E. Reimer), 홀트(J. Holt), 프레이리(P. Freire) 등은 오늘날 탈학교론자들로 유명하다. 6. 특히 라이머는 일리치와 함께 푸에르토리코 등지에서 교육사업에 투신하고 일리치와의 15년간 대화의 결실로 《학교는 죽었다》(School is Dead)라는 책을 별도로 저술하였다. 이 책에서 그는 오늘날 학교의 기능이 부자를 부자되게 하고, 권력을 가진 자로 하여금 계속 그 권력을 승계시키고, 가난한 자로 하여금 그 상황을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등 모순된 교육제도로 발전되고 있어 어떤 새로운 대안(代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탐구 探究 inquiry
|
1. 어떤 가설, 혹은 신념의 입증을 위하여 정보의 수집, 질문의 제기, 자료의 조사, 이론의 검토 등을 하는 행위. 2. 일반적으로 우리말의 탐구는 지식 혹은 이론의 획득이나 정립을 위한 지적 노력 그 자체나 그것에 수반되는 활동을 뜻한다. 3.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사실에 관한 정보 혹은 이론적 지식을 획득하기 위한 사실적-경험적 탐구, 사고의 명료화와 개념의 명확한 조작(操作)을 위한 형식적-논리적 탐구, 가치의 추구나 평가, 실천적 규범(혹은 원리)의 정립을 위한 규범적-평가적 탐구 등이 있다. |
탐구법 探究法 inquiry method
|
1. 진리, 정보 혹은 지식을 추구하는 방법 2. 이의 동의어로 문제해결?반성적(反省的) 사고 등이 있다. 3. 탐구의 이론적 배경은 발견(discovery)과 정당화(justification)를 통하여 볼 수 있으며, 전자는 문제해결 방안을 추리하고 수용하는 심리적 과정이고, 후자는 논증과 입증의 논리적 과정이다. 4. 탐구수업은 수업과정에서 학생들이 탐구를 경험하는 심리과정이나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학습조건, 그리고 학생들의 정당화 제시 여부에 관심을 기울인다. 5. 일반적인 탐구는 무엇을 탐구하였느냐의 결과에 관심을 기울이지만, 탐구수업에서의 탐구의 경우에는 상대적인 탐구로서 탐구과정에 관심을 기울여 학생들이 수업과정에서 탐구적 사고를 경험하였는가에 초점을 둔다. |
탐구수업 探究授業 inquiry instruction
|
1. 어떤 문제해결 또는 주제의 학습을 위해 교사가 학생들의 능동적 인 탐구행위를 크게 자극하는 수업형태. 2. 일반적으로 탐구학습과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수업기술(teaching technique)의 하나로서의 탐구법과, 교수계획(teaching procedure)으로서의 탐구수업은 구별해서 생각해야 할 것이다. 3. 탐구수업은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의 두 가지 측면을 구별하지 않은 채 교육용어로 사용되어 왔다. 4. 탐구수업을 넓은 의미의 교수계획으로 본다면, 탐구법은 좁은 의미의 수업 기술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탐구수업이란 이념적인 것이며, 교육과정 구성이나 교수-학습 과정에 영향을 주는 하나의 원리라고 해야겠다. 5. 탐구수업을 다른 말로 표현한다면 연구형 수업방식(researchlike method)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교사들이 행하는 것과 똑같은 절차를 거쳐 결론에 도달시키는 과정이기도 하다. 6. 일차자료(primary source)의 사용, 실험과 발견, 가설의 설정과 검증 등을 수업과정에서 과학화시키려는 이념이 탐구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7. 이러한 방법은 처음 과학교육에서 발전하였으나 점차 사회과에서도 활발히 연구되었고, 다른 교과에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태도 態度 attitude
|
1. 특정한 사물이나 인물에 대한 개인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된 내재적(內在的) 상태 2. 학자에 따라 여러 가지로 정의(定義)되나 ① 행위 그 자체가 아니라 행위의도(行爲意圖)이며 ② 다양한 상황에서 태도 대상에 대한 개인적 반응(행위선택)의 일관성을 통해 추리될 수 있으며 ③ 경험을 통해 학습된다는 것이다. 3. 일반적으로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속성들로 구성된다. ⑴ 인지적 속성이란 어떤 태도대상에 대한 생각(아이디어, 또는 범주) ⑵ 정의적 속성은 그 대상에 대한 생각에 수반되는 감정(좋다 또는 싫다) ⑶ 행동적 속성은 그 대상에 대하여 어떤 행위를 하려는 의도(준비성)를 의미한다. 4. 예 ⑴ 인지적 속성 : 사람들은 처음 어떤 식물에 접할 때, 비타민 C가 많다든가, 또는 몸에 해로운 색소가 들어 있어 위생적이 못된다든가 하는 식으로 그 식품에 대한 생각을 갖는다. ⑵ 정의적 속성 : 이 생각은 그 식품을 좋아하거나 꺼려하는 감정을 쉽게 수반하게 된다 ⑶ 행동적 속성 : 이러한 그 식품에 대한 생각과 감정은 그것을 사거나 먹지 않는 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행위의도와 연결된다. |
태도교육 態度敎育 attitude education
|
1. 인간의 태도를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활동 2. 태도의 계획적 변화과정은 세 단계로 구분된다. ⑴ 무슨 태도를 가르칠 것인가 하는 태도교육 목표의 설정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내재적 상태로서의 태도를 그 학습지도 및 평가에 구체적인 시사를 줄 수 있도록 정의?분류?진술한다. ⑵ 설정된 태도를 가르치는 학습지도의 단계이다. 여기서는 태도학습의 내적 과정을 밝히고, 이 과정을 지원하고 촉진시킬 외적 조건을 설정하는 교수설계(敎授設計) 및 활동이 전개된다. 태도교수(態度敎授)에 관한 이론은 사회과학에서 주로 다루는 태도변화이론에서 도입될 수 있다. 대표적 이론으로 균형이론?불협화이론?기능이론?행동이론?모델링(modeling) 이론 등을 들 수 있다. ⑶ 학습된 태도를 의미 있고 타당하게 확인하는 평가의 단계이다. 여기서는 교수과정을 통해서 학습자의 태도가 목표에 비추어 얼마나 학습되었는가를 신뢰 있고 타당하게 평가한다. 3. 학습성과로서의 태도가 영향을 줄 구체적 행위의 진술과 이 행위가 나타날 다양한 상황을 확인하여 정리한 이원분류표(二元分流表)의 작성은 효과적인 태도평가의 설계도 구실을 할 수 있다. |
태학 太學
|
1. 고구려 소수림왕 2(372)년에 세운 관학(官學)으로서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먼저 세워진 유학대학. 2. 우리나라 교육사에서 학교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사로서 《삼국사기》에 고구려 소수림왕 2년 6월에 왕은 "태학을 설립하고 자제를 교육하였다"라고 하였으며, 이로써 우리나라의 관학의 설립은 서기 372년에 기원한다. 3. 비록 고구려가 그 건국의 오래됨에 비하여 학교의 설립은 늦었다고 하겠으나, 이 태학은 중국에서 일어난 고대 왕조의 학교를 제외하고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설립된 학교였다. 4. 그런데 아쉬운 점은 태학의 이념과 학제, 그리고 교육내용 등에 관한 기록이 없다는 것이다. 5. 다만 고구려가 국초부터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문자를 사용하고 책을 편찬하며 율령(律令)을 반포한 일련의 역사적 사실로 미루어 보아 그 교과내용을 당시의 중국에서처럼 오경(五經)과 삼사(三史)로 하였으리라고 본다. ? 경당 |
토론법 討論法 discussion method
|
1. 학생 각자의 생각이나 경험을 발표하거나, 남의 생각이나 경험을 받아들임으로써, 다면적으로 사물을 보고 심층적으로 본질을 추구하는 역동적인 수업상황 또는 수업방법 2. 교사가 주도하여 학급 단위로 전개될 수도 있고, 한 학급을 몇 개의 분단으로 나누어 토론을 하게 한 결과를 그 분단을 대표하는 학생이 학급 전체에 보고하게 하는 것이 될 수도 있다. 3. 토론법은 강의법과 대비되는 것이기도 하다. |
통각 統覺 apperception
|
1. 예술작품의 관조자(觀照者)가 작품의 아름다움을 여러 각도에서 음미하고, 이해하며 즐기는 것 2. 예술 감상을 위해서는 미적(美的) 체험이 있어야하고, 체험은 특별한 심적 과정과 작용, 능력을 요구한다. 3. 즉, 미적 태도를 원초적 계기로 하여, 직관작용(直觀作用)과 정감작용(情感作用)의 상호 융합작용을 통해서 미적 체험형식으로 이루어진다. ? 예술비평 |
통계적 가설 statistical hypothesis
|
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집분포(全集分布)에 대한 진술 2. 특히 이러한 전집 분포의 전집치(全集値, parameter)에 대한 진술로서 경험적 자료를 통하여 검증될 수 있는 진술을 말한다. 3. 이러한 진술은 표집에 대한 진술이 아니라 항상 전집에 대한 진술인 것이다. 4. 이러한 진술을 가설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진(眞)일지도 모르는 사태로서, 경험적인 표집을 통하여 검증될 수 있는 사태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5. 통계적 가설은 전집치를 일정한 하나의 값으로 규정하는 등가설(等假設)과, 전집치를 일정한 범위로 규정하는 부등가설(不等假設)로 나누어 볼 수 있다. 6. 예를 들어 등가설의 경우에는 =100 등으로, 하나의 일정한 값으로 진술되는 반면에, 부등가설은 ≥100 등으로 일정한 값이 아니라 범위로 진술된다. |
통제 統制 control
|
1. 성문화(成文化)된, 또는 지시된 규격에 따라 모든 일을 성립케하는 행위 2. 다시 말하면 어떤 일이 일어나도록 또는 일어나지 못하도록 억제하거나 지휘하거나 결정하는 권력의 행사이며, 경영의 과정(management cycle)의 하나로서, 어떤 일의 이점(利點) 내지 결과를 평가하고 시정하며 조정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
통제집단 統制集團 control group
|
1. 실험 연구에서 실험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선정된 집단 실험의 목적은 실험자가 선택한 임의의 독립변인(獨立變人)이 종속변인(從屬變人)에 주는 영향을 관찰하려는 데 있다. 2. 그러나 실험장면에서 종속변인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실험자가 선택한 독립변인 이외에도 무수히 많기 때문에 그것의 고유한 효과를 알아보기는 매우 어렵다. 3.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실험적 처치를 받은 실험집단과 실험적 처치는 받지 않았지만 모든 점에서 그 실험집단과 동등한 통제집단을 선택하고, 그 양 집단간의 반응을 비교하는 종속변인의 차이가 발견된다면 그것은 오직 실험변인의 효과 때문인 것으로 간주한다. |
통찰 洞察 insight
|
1. 사물이나 현상의 특징?관계 등을 명백하게 파악하는 심리적인 능력 2. 학습심리학에서는 침팬지가 문제 장면을 시행착오 없이 문제 장면의 전체적 파악에 의해서 해결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통찰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래 문제 장면의 구조적 파악이나 인과적 파악을 하고 있는 창조적 사고를 가리키게 되었다. 3. 상담과 심리치료에서는 환자가 자기의 정신병리의 핵심적 원인을 스스로 깨닫는 것을 가리키며, 흔히 현재에 작용하고 있는 과거, 인간관계의 역동적 현상에 나타난 인과관계, 자신의 문제에 관련된 자신의 심리적 기제 등에 관한 명백한 파악이 행동, 또는 성격의 변화에 필요하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 4. 정신분석 이론이나 내담자중심 이론, 또는 인지적 접근 등에서는 변화를 촉진하는 핵심적 개념으로 간주되고 있다. |
통찰이론 洞察理論 insight theory
|
1. 학습은 맹목적인 시행착오나 무의식적 충동의 발산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문제 장면에 대한 통찰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형태심리학(形態心理學)의 한 이론 2. 이 이론을 처음으로 주장한 사람은 쾰러(Kohler)?코프카(Koffka) 등이며 통찰은 문제에 대한 부분적 해결이 아니라 문제의 전체적 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
통합교육 統合敎育 mainstreaming
|
1. 장애아동(障碍兒童)을 정상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방법 2. 이를 위하여 보조인원과 서비스를 마련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독립된 특수학교에 배치하는 것과 대조되는 개념이다. 3. 이러한 교육실제는 최소의 제한된 환경(least restrictive environment)이라는 개념과 연관되어 있다. 4. 이 방법은 자료(資料)교사와 같은 적절한 보조자를 사용하여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경도(輕度)의 장애자들에게 유용한 학교배치 방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