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조건 必要條件 necessary condition
|
1. 두 개의 명제(命題) 혹은 두 개 이상의 사건들에 관해서 어느 하나를 옳다고 주장하지 않으면 다른 하나를 주장할 수 없을 때, 후자에 대한 조건으로 전자를 일컫는 말 2. 다시 말하면 명제 p가 참 [眞]이 아니라면 q도 참이 아닐 때 또는 사건 p가 일어나지 않으면 q도 일어나지 않을 때, p는 q의 필요조건이다. 3. 전자를 논리적 필요조건이라 하고 후자를 인과론적 필요조건이라 한다. 4. 예를 들어, "김씨는 남자이다"는 "김씨는 아버지이다"의 논리적 필요조건이고, "물기가 있다"는 "소금이 녹는다"의 인과론적 필요조건이다. |
하위개념 下位槪念 subordinate concept
|
1. 같은 부류(部類)의 대상이 공통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속성의 추상화가 개념(concept)이라 할 때 이 개념의 범주에 속하면서 이 범주 내의 다른 대상과 구별되는 속성을 가진 개념 2. 예컨대, 세 변이 세 각을 이루고 있으면서 이 세 내각의 합이 180°인 도형을「삼각형」이라고 개념화한다면 이러한 속성을 같이 공유(共有)하면서도 정삼각형?직각삼각형?이등변삼각형?예각삼각형?둔각삼각형 등은 서로 다른 특성(속성)을 보이고 있다. 3. 이때 이들 각 삼각형은 삼각형의 하위개념이 된다. 또한 참새?비둘기?꿩은 「새」에 대한 하위개념이 된다. ? 상위 개념 |
하위체제 下位體制 subsystem
|
1. 체제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 또는 체제 속에 속해있는 하위의 체계 2. 어떤 체제 내부를 분석적으로 파악하면 대개의 체제는 몇 개의 하위 체제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3. 예컨대 학교제도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사회환경 안에서 존재하고 운영되므로 사회체제의 하위체제라고 할 수 있다. ? 상위체제 |
하이퍼미디어 hypermedia
|
하이퍼텍스트의 원리를 언어적인 텍스트 정보에 한정하지 않고, 그림, 동작, 소리 등에까지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 매체 ?하이퍼텍스트, 다중매체 |
하이퍼텍스트 hypertext
|
1. 컴퓨터를 통하여 저장된 정보를 학습자가 자신의 필요와 관심 및 인지 스타일에 따라 자유롭게 검색하도록 도와주는 비순차적 텍스트의 전개 원리 2. 하이퍼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텍스트와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3. 전통적인 텍스트는 책의 형태를 띠건 컴퓨터의 데이타베이스에 있건 모두 순차적으로 되어 있다. 4. 즉 텍스트가 읽히는 순서를 결정하는 단 한 개의 선형적 순차가 전제되어 있다. 첫째 페이지를 읽고, 둘째 페이지를 읽고 .... 하는 식이다. 5. 하이퍼텍스트는 비순차적이다. 6. 텍스트가 읽히는 순서가 결정되어 있지 않다. 7. 아래의 그림은 하이퍼텍스트의 원리를 보여주는 간단한 구조의 예이다. 독자들은 A의 특정 부분을 읽다가 B로 가거나 D로 가거나 E로 가거나 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그림에서 한 개의 페이지처럼 보이는 정보단위를 노드(node)라고 하고 점으로 서로 연결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연결점을 링크(link)라고 한다. [그림] 여섯 개의 노드와 아홉 개의 링크로 이루어진 하이퍼텍스트 구조 8. 이는 연결점을 링크(link)라고 한다. 9. 더 기술적으로 정의하면 하이퍼텍스트는 노드와 링크를 단위로 하는 정보의 구조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10. 하이퍼텍스트는 그 구조화의 종류에 따라 노드연결형 하이퍼텍스트, 구조화된 하이퍼텍스트, 위계적 하이퍼텍스트로 분류된다. |
학교경영 學校經營 school management
|
1. 어떤 학교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적(人的)?물적 자원과 기술?정보의 활용을 조정?통합하는 활동과정 2. 학교경영에서는 수업의 원칙이나 준거에 따라 교육과정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할 것인가를 고려하면서 학교경영의 계획?조직?운영?평가를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을 다룬다. 3. 이에 따라 학교경영은 대체로 학교의 교육목표 내지 경영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학교 체제내의 제반 인적?물적 자원 및 기술?정보를 확보하여, 그것을 계획?조직?조정?통할(統轄)하는 일련의 활동과정을 의미한다. 4. 이러한 활동은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계획(planning)?실천(implementing)?통할(controlling)의 과정을 포함한다. 5. 그러므로 학교경영은 학교관리나 학교운영과는 그 의미가 다르다. 6. 학교관리가 교육법규의 해석적(解釋的) 입장에서 교육이 집행되어 온 것이라면 학교운영은 교육계획이 실천되는 한 과정만을 언급한 것이다. 7. 여기에 비하여 학교경영은 교육목적의 달성과정 전반을 포괄한 것이기 때문에 그 의미는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
학교경영 목표 學校經營目標
|
1.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할 경영상의 기본 방향 2. 이것은 경영활동(經營活動)이나 결정이 합리적인가를 판단케 하며 아울러 경영성과의 측정과 평가의 기준이 된다. 3. 학교교육 목표는 상위목표로부터 추출된 학생들에게서 길러져야 할 인간상 내지 행동특성이 종합적으로 제시되는 것이다. 4. 경영목표는 이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학교의 전체적 혹은 각 부문의 활동을 이끌어가기 위한 표적이 되는 것으로서 학교장과 교사 및 사무직원들의 노력을 체제적(體制的)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5. 따라서 경영목표는 학교의 교육목표를 근거로 그 학교의 실정에 맞추어 경영이 가능한 활동의 방향을 추출한 것이 된다. 6. 학교의 경영상의 목표는 교과지도?특별활동 및 생활지도를 포함하는 교육과정 관리와 이를 지원?통제하는 지원조건(支援條件) 관리로 나누어 설정된다. 7. 이 경영목표는 경영체제의 전 영역을 망라한 것이어야 하고 구체적이며 계량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학교경영의 각 영역별로 경영목표가 설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 9. 경영목표를 설정한다는 것은 그 영역의 경영에 강조를 둔다는 것을 의미한다. |
학교교육 계획 學校敎育計劃
|
1. 학교가 교육목표에 따라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활동내용을 담은 계획 2. 교육의 내용이 복잡하고 교육방법이 다양화함에 따라 교육의 생산성을 올리기 위한 교육활동은 구체적인 계획이 없이는 효율적이며 합리적으로 수행될 수 없다. 3. 학교경영에 있어서의 계획은 장래에 대한 예측과 분석적 학교여건을 바탕으로 일정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는 데 요구되는 합리적 행동을 예정하고 준비하는 과정을 말한다. 4. 계획은 목표와 그것을 달성하는 수단 사이에 내적인 일관성을 가지게 하고, 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관리기능의 기초로서 학교조직의 각 부서 및 활동 간의 조화와 균형을 갖도록 하는데 필수적 요건이 된다. 5. 학교경영 계획은 학교장과 교사 간에 달성되어야 할 교육목표 내지 경영목표를 합의하고 나서 각기 자기의 과업을 정하여 이를 자기통제(self-control)의 원리에 따라 실천하고 그 도달도를 평가함으로써 학교체제 경영의 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6. 계획에는 문제의 규명, 목표 및 방침의 설정, 활동계획, 조직 계획, 평가계획 등을 포함한다. 7. 이와 같은 학교교육(경영) 계획에는 장기계획?단기계획?연간계획?학기계획?월간계획?주간계획?일일계획 등이 있을 수 있다. |
학교교육 목표 學校敎育目標
|
1. 장기적(長期的)인 안목에서 학생들이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할 인간상(人間像) 내지 행동특성을 종합적으로 명시한 것 2. 이것은 학교 내의 모든 교육활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밝혀주는 지향점(指向點)이 되며, 모든 사고결정의 적절성 내지 타당성 여부를 판별해 주는 중요한 지표가 되기도 한다. 3.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데는 헌법?교육법?국민교육헌장 등의 자료가 그 기초를 이룬다. 학교에서 교육목표의 추출원(抽出源)이 동일하기 때문에 학교별로 정하는 교육목표는 사실상 진술상에 차이가 있을 뿐 내용상의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4.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그 학교가 기르고자 하는 인간상이나 행동특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5. 따라서 교육목표는 구체성?주체성?포괄성이 있게 행동적 용어로 진술되고, 지역성?시대성이 반영된 것이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교육목표를 결정할 때는 집단지(集團知)에 의한 합리적 의사결정이 반영되어야 한다. |
학교모범 學校模範
|
1. 조선조 14대 선조15(1582)년 율곡 이 이(李珥)가 왕명을 받들어 학교사목(學校事目)과 함께 지어 바친 학교의 규범. 2. 학령(學令)의 미비한 점을 보충케 하였을 뿐 아니라, 유학(儒學)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고 밀도 높은 사상이 깃들어 있어, 여기에 간직된 사상이나 교육과정 정신은 율곡에 그치지 않고 조선시대 교육의 이상적(理想的)인 목표와 일반적인 준행의 지표가 되었다. 3. 학교모범은 모두 16조목으로 선비된 자의 몸가짐과 일해 나가는 준칙(準則)으로서, 입지(立志), 검신(檢身), 독서(讀書), 신언(愼言), 존심(存心), 사친(事親), 사군(事君), 택우(擇友), 거가(居家), 접인(接人), 응과(應科), 수의(守義), 상충(尙忠), 독경(篤慶), 거학(居學), 독법(讀法)을 싣고 있다. ? 학교사목 |
학교문화 學校文化 school culture
|
1. 특정학교가 가지고 있는 문화 2. 학교문화라는 말은 월러(W. Waller)에 의하여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브렘베크(C. S. Brembeck)는 학교문화를 지리적 위치에 따라 산간벽지 학교의 문화, 읍지(邑地) 학교의 문화, 교외학교의 문화, 도시학교의 문화로 분류하고 있다. 3. 한편 클락(B. R. Clark)은 미국 중등학교의 문화를 흥취적(興趣的, fun) 문화, 학구적(academic) 문화, 나태적(懶怠的, delinquent) 문화로 분류하였다. 4. 학교문화의 특성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많다. |
학교사목 學校事目
|
1. 조선조 14대 선조15(1582)년 왕이 율곡 이 이(李珥)를 시켜 제정한 학교에 관계된 인사문제의 원칙과 지침. 교사의 선별?임용?승급?예우(禮遇)에 관한 5개 항목과 학생의 입학?정원?선발?거재(居齋)?대우?장학?자격에 관한 5개 항목의 규정을 포함하였다. 2. 교사채용에 있어서 태학생(太學生)을 우선적으로 채용하고 진출책을 보장하는 등 사기를 높이는 문제와 형식이나 출신을 가리지 않고 자격자를 최대한 우대하여 유치하고 승진의 길을 마련해야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3. 학생 입학은 엄정성을 기하고 신입생에게는 학교 모범(學校模範)을 준수토록 하며, 불성실한 자는 과거응시 중지 등의 조처를 취했고, 각급 학교의 기본 운영규정과 기준을 실었으며, 이는 후일 학교운영의 기본지침이 되었다. |
학교상담 學校相談 school counseling
|
1.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생활지도의 한 형태 2. 학생들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거나 여러 가지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교사와 학생이 직접적으로 대면하여 개방적이고 타당한 커뮤니케이션(valid communication)을 통해서 학생을 원조하는 활동을 말한다. 3. 따라서 단순히 교사와 학생 사이에 이루어지는 대화나 훈육과는 구별되며 전문적 커뮤니케이션, 특히 원조적(援助的) 커뮤니케이션에 관해서는 물론이고 폭 넓은 상담문제에 관한 훈련을 받은 전문적 카운슬러에 의해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4. 학교상담은 다른 상담과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⑴ 학교상담은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성장?발달?변화되도록 하는 것이 주관심이다. ⑵ 학교상담은 학생들의 자발적 성장?발달?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⑶ 학생들에게 요청하는 행동이나 상담의 목표 등에는 명백한 한계가 있어야 하며, 학생의 자유를 가능한 한 최대로 보장하는 것이어야 된다. 5. 학교상담에서 흔히 다루어지는 문제의 영역은 교육?직업?성격과 행동?인간관계?여가 등의 광범위한 것이며, 이는 개인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하고 집단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6. 학교상담을 위해서 특히 강조되는 것은 교사와 학생 간에 이루어지는 인간관계이며, 성공적 상담을 위해서는 수용(收容)하고 이해하는 인간관계가 이루어져야 된다. |
학교절목 學校節目
|
1. 조선조 16대 인조 7(1629)년 조 익(趙翼)이 입안한 것으로서 학교의 신입생?결석생?장학관계?성적?설규?학과목?자격에 관하여 기존의 학교 관계의 조항을 보완하고 강조사항을 명시한 규정집 2. 서울의 사학(四學)과 지방학생인 외방사자(外方士子)의 학적부를 만들어 신입생 명단을 작성토록 했고, 신입생에게는 소학(小學)을 시험보아 「조」(粗) 이하면 입학을 불허토록 했으며, 학교에 등록되지 않는 자는 생원(生員)?진사(進士)가 되는 감시(監試)에 응시치 못하게 하고, 특히 소학을 통독시킬 것을 강조하였다. 3. 관관(館官)과 수령(守令)의 학생지도?점검?선발?인원기준?교과과정 등을 싣고 있다. |
학교평가 學校評價 evaluation of school
|
1. 학교의 내적?외적인 교육현상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에 비추어 어느 정도의 수준에 속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학교를 조사하는 활동 2. 이러한 학교평가는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 자체의 결함을 발견하고 이를 교정함으로써 학교교육을 개선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실시되는 것이다. 3. 평가의 대상은 학급 내의 교수-학습활동 외에도 교직원?시설 및 재정운영도 포함될 수 있다. |